고택에서 빈둥거리다 길을 찾다 - 명문가 고택 편 이용재의 궁극의 문화기행 시리즈 3
이용재.이화영 지음 / 도미노북스 / 2011년 8월
평점 :
품절


나는 고택을 좋아한다. 빈둥거리는 것 역시 좋아한다. 언젠가는 한량이 되어 유유자적하게 사는 것이 꿈이다.
그런데 이를 이미 실행하고 있는 사람이 있다. 바로 <궁극의 문화기행 3권>을 집필한 이용재씨다. 책을 읽게 된 계기는 내가 좋아하는 고택에서 빈둥거리며 한량의 삶을 살고 있는 사람에 대한 부러움과 궁금증 때문이었다. 전에 저자가 쓴 궁극의 문화기행에 대한 정보도 없었기 때문에 <고택에서 빈둥거리다 길을 찾다>를 읽게 된 것은 순전히 책 제목과 소개글 때문이었다고 하겠다.
이 외에 다른 아는 것이 없었기에 나는 이 책을 고택에 사는 사람의 에세이라고 생각했다. 막상 책장을 넘기니 유홍준씨의 <우리문화답사기>와 같은 고택답사기였다. 저자는 고택 21곳을 권력, 선비의 절개, 학문과 예술, 나눔과 베풂이라는 4가지로 분류하고, 주제에 맞게 고택을 해석하여 그에 적합한 이야기로 고택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보다 편하고 쉽게 읽을 수 있었으며 아름다운 사진과 어려운 용어에 대한 해설 및 도판으로 고택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책이었다.

처음 책을 펼치고 저자의 글체에 적잖이 당황했다. 이 전에 궁극의 문화기행 시리즈를 읽어본 적도 없고 이용재씨의 문체에 대해 들어본 적도 없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책을 읽다보니 저자의 간결한 설명과 툭툭 던지는 말투, 마지막의 촌철살인에 금세 적응되기 시작했다. 역사적 사실이나 고택에 대한 정보를 자세하게 기술할 수도 있지만, 이용재씨의 간결하고 솔직한 말투는 고택과 장소에 담긴 역사를 보다 쉽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뒷부분에 한마디씩 덧붙이는 짧은 소감을 볼 때면 속이 시원해지기도, 얼굴에 미소가 지어지기도 했다. 

"내 70평생 벼루 10개를 밑창 냈고, 붓 일천 자루를 몽당붓으로 만들었으니 당신도 그렇게 노력하시오."(추사 曰)
"그래 지금 내 손가락은 저리죠. 자판 두드리느라."(저자 曰)
209쪽, 예산 추사고택 中  

작가의 특이한 이력만큼 공동저자인 딸의 이력도 독특하다. 학교를 안다니고 아빠따라 고택 답사를 다녔는데 이번에 책도 같이 쓰고 건축에 흥미가 생겨 유학을 준비중이라고 한다. 책의 제목처럼 고택에서 빈둥거리다 길을 찾은 듯하다.
고택을 좋아하고 전공도 어느정도 관련있는 분야라서 책에 소개되어 있는 21곳의 장소 중 많은 곳은 한 번에서 몇번씩 답사해본 곳이었다. 답사할 때마다 미리 공부하고 답사가서 공간을 꼼꼼히 보고 느꼈다고 생각했지만, 책을 읽고 나니 내가 한 답사는 공간의 겉모습과 알려진 사실에 치중된 것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처럼 고택에서 빈둥거리며 선현의 길을 생각해보고, 현재의 의미와 나의 길도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진 적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언제나 시간에 쫓기는 고택을 답사하고 학술적인 무언가를 찾아내는 데만 치중해서 정말로 그 공간이 주는 의미, 그리고 진정 중요한 나의 길찾기를 간과하고 지나쳤다는 생각이 들었다.

작가의 바람처럼 언젠가는 <궁극의 문화기행>이 우리 역사와 문화를 아우르는 대한민국 최고의 문화기행서가 되기를 바라면서, 앞으로 나도 고택에서 빈둥거리며 나의 길을 찾아 보려고 한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