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비틀 Mariabeetle - 킬러들의 광시곡
이사카 고타로 지음, 이영미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골든 슬럼버의 명성에 힘입어 이사카 고타로의 마리아비틀을 읽기 시작했다. 골든 슬럼버를 영화로 보거나 책으로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탄탄한 스토리와 재미를 지니고 있다고 해서 이사카 고타로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오래간만의 역작이라고 해서 이번에야말로 그의 작품을 읽어봐야겠다라는 생각이 든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마리아비틀은 내가 좋아하는 스타일의 작품은 아니다. 마치 만화에서 등장할만한 인물설정과 구성이 마음에 와 닿지 않았기 때문이다. 시속 200킬로미터로 질주하는 열차에 나름대로의 사정과 목적을 가진 킬러들이 모여들고  우연과 필연이 겹쳐 계속 사건이 벌어진다. 이예 비례하여 시체의 수도 늘어나고 사건은 점점 더 꼬여만 간다. 이런 만화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책장은 쉽게 넘어가고 그래서? 라는 생각에 앞의 내용도 궁금해지지만 왠지 현실감 없는 전개에 이야기에 푹 빠지긴 어려웠다.
이사카 고타로는 이야기 속에 현실 속의 문제와 여러 지식들(특히 심리학)을 등장인물들의 입을 빌어 직접적으로 설명하거나 이야기로 풀어나간다. 이런 지식들이 이야기에 다채로움을 주고 인물의 행동을 보다 잘 설명해줄 수는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이런 지식을 말하는데 너무 많은 페이지를 잡아먹어서 이야기의 흐름이 끊기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엔터테이먼트 소설에 무게를 주려한 듯한데 너무 과해서 이야기와 잘 섞이지 못했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등장하는 다양한 인물들은 각기 다른 뚜렷한 성격과 행동으로 보는 재미가 있었다. '왕자'는 무조건적인 악의로 똘똘뭉친 어린 사이코패스를 보는 것 같다. 왕자는 세상의 모든 악을 끌어모은 듯한 성품을 지녔지만 외모만큼은 천진하고 사랑스럽다. 일반적이지 않은 이런 설정이기 때문에 왕자가 행하는 여러 못된 짓을 보면서 왕자에게 더욱 분노하고 그 악의가 더욱 느껴졌다. 왕자 때문에 다른 인물들에게는 더욱 쉽게 애정을 느끼고 다치거나 죽을 때 더 안타깝지 않았을까?
 
마리아비틀은 오락소설답게 즐겁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일본만화같은 구성과 등장인물은 책에 몰입하는데 어려움을 주기도 하지만 그 점이 이 책의 매력이기도 하다. 마리아비틀은 '그래스호퍼'의 후속작 격이라고 하는데 마리아비틀에 까메오격으로 출연했던 학원강사와 푸쉬맨, 말벌을 만나기 위해서 언젠가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