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이 필요한 시간 - 나를 다시 살게 하는 사랑 인문학
사이토 다카시 지음, 이자영 옮김 / 와이즈베리 / 2016년 11월
평점 :
절판


#사이토다카시 #사이토_다카시 #사랑이필요한시간 #사랑이_필요한_시간 #人はなぜ愛するのか #와이즈베리

작가의 이전 작 (물론 직전의 작품은 아니지만, 모 드라마에 등장하여 유명세를 타기도 했던 그! 작품!)을 기억하는 나로는 제목부터가 어쩐지 충격이었다.

『사랑이 필요한 시간』(원제 人はなぜ愛するのか: 인간은 왜 사랑을 하는가)

왜죠, 혼자 있는 시간을 그렇게나 칭송하던 그대가!

그렇다, 나는 『혼자 있는 시간의 힘』(원제 孤獨のチカラ: 고독의 힘)을 그렇게나 고개를 끄덕이며 읽었는데!

나는 그렇다고, 그래서 내가 혼자 있는 걸 좋아하는 거라고 그렇게 공감했는데!

"흥미롭게도 재능이 많은 사람일수록 혼자일  자심이 이루어야  세계에 대해 생각한다. , 혼자만의 시간에 깊이 생각한다는 것은 재능의 증거이기도 하다." _45쪽 『혼자 있는 시간의 힘』

어째서 지금은 사람이 필요한 때라고 하는가!

원론적으로 말하자면, 지금 우리 여기 사랑이 필요한 거 맞다.

작가의 주장이 백 번 옳다.

사랑이 필요해서 우리는 노란 리본을 잊지 않으며, 토요일마다 초에 불을 켠다.

사랑이 필요해서 글을 읽고 글자를 남긴다.

맞다.

"사람은 사랑을 하고 있다는 자각이 있을  자신의 '' 긍정한다. 내가 아닌 다른 존재 없이 삶을 긍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우리는 모두 타인과 차이를 인정하고 사랑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얻는다." _15

전쟁과 테러는 멈춰져야 하며, 우리는 더 배려하고 사랑해야 한다.

지금은 사랑이 필요한 시간이다.

사랑은 한편 집중이기도 하고 몰입이기도 하다.

사랑 없이는 그 어떤 것에도 집중하기 어렵다.

집중하여 한 군데 매달릴 수 있다는 것, 그것은 여전히 사랑이다.

육체적이지 않다 뿐이지, 그 육체적인 것을 승화시킨, 그러니까 보편화를 이룬 사랑의 모양이라는 것이다.

집중과 몰입은 그런 것이다.

예를 들자면, 향학열이 그것일 수 있고 취미일 수 있고 생활일 수 있고 도라에몽 같은 캐릭터에의 매달림 일 수도 있다.

다른 모양새의 다른 이름일지언정 그것들은 사랑이다.

"고대 그리스의 플라톤이  『향연』에는 소크라테스가 승화에 대해 거론한 부분이 나온다. 육체적인 애정은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지만,  사랑이 발전해 지知를 사랑하는 활동으로 이어지면 그것이 바로 승화라고 설명했다. 승화는 본질에 가깝고 보편성을 향해 에너지가 퍼져가는 과정이다./ 달리 말하면,  사람을 사랑하는 행위가 계기가 되어 조금  보편적인 사랑을 배워가는 과정이 시작된다고   있다." _57

사랑이라는 다소 부담되는 주제임에도 저자는 노련하게 잘 풀어나가는 듯 하다. ,

점점 뒤로 갈수록 봉건주의적 혹은 사대주의적인 연애관과 부부관이 드러나는 것 같아 조금 불편했다.

(비교적 최근에, 나는 아마도 프로 불편러에 가까운게 아닐까- 하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사랑하는 특정의 사람을 만나 가정을 이루어야 한다,라는 작가의 의식 속 조건문이 무겁다.

이러저러한 사랑의 모양들이 있지만 결국은 (그 중의 최후는) 특정인과의 (대부분) 이성理性 간의 사랑을 강조하는 게 부담으로 다가온다.

나는 비록 지금 그렇게는 사랑하고 있지는 않지만 (당분간 생각도 없지만) 죄가 있는 게 아니잖은가!

"여유로운 생활에 사랑과 연애에서 오는 두근거림과 설렘을 보태면 사는 보람이 생긴다. 우리는 사랑을  때 행복해지고, 사랑할 대상을 찾는 과정을 통해서 삶의 보람을 느낀다. 소소한 두근거림이 사회 전체의 힘이 되고, 세상에 활기를 불어넣을  있다:" _162

나의 의견과 정합하지는 않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여전히 독서를 사랑하고, 타인의 의견듣기를 사랑한다.

달리기를 사랑하고, 산을 사랑한다.

여름을 사랑하고, 끄적임도 사랑한다.

나는 어떻게든 사랑하고 있다.

 

#인문 #사랑 #사랑인문학 #나를다시살게하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