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교육대기획 시험 - 최상위 1% 엘리트들의 충격적이고 생생한 민낯!
EBS <시험> 제작팀 지음 / 북하우스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EBS시험제작팀 #EBS미디어 #EBS교육대기획 #시험 ##EBS교육대기획시험 #EBS교육대기획_시험 #북하우스


언젠가 TV 채널을 뒤적이다 발견한 흥미있는아니 실은 위태로운서울대에서 A+를 받는 학생들에 대한 이야기.

(무려!) 서울대에서 만점에 가까운 성적을 받아내며 장학금을 타내는 이들은 도대체 뭘까라는 놀라움이 채 가시기도 전에 시작된 그들의 증언들은 정//로 충격적이었다.

무조건 받아 적어요토씨하나 농담 한 줄 안 빼놓고요.’

녹음을 해요수업 후 다시 들으며 혹시라도 빼놓고 필기한 것이 있나 확인하며 채워 넣어요.’


그들의 증언은 교수를 신으로 알라,라는 말 만큼이나 충격적 이었다.

교수의 농담까지 받아 적힌 공책 위에 그들의 생각이란 눈꼽 만큼도 없는 것 같아서.

그리고 어쩐지 다행이라고까지 생각했다내가 거기 있지 않아서.

(거봐내가 그래서 서울대를 안 갔다니까!)

-

(그리고 방송으론 못 봤지만 책에는 있던미시간대 우등생들이 하지 않는 것필기.

필기는 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시간성장하는 시간을 놓친다고 생각하고 있는 그들.

교수와 다른 생각당연히 가능하고 시험 답안에도 그 생각을 정리해서 제출할 만큼 받아들여지고 있는 그들의 생각하는 힘’.



인도에서는 유일하다고 여겨지는 신분상승의 길’, 앞으로의 인생이 달려있고 지금까지의 인생을 모두 불태워야 한다는 중국’, 그리고 여기서 패배하면 갈 곳이 없다는 한국’.

시험은 그런 것이기만 할까.

평가와 선정의 의미만을 남기고 퇴색되었다고 믿어질 만큼 시험만 남은 이곳들.

-

그리고 그와 대조적으로 성장을 묻는 질문들을 시험으로 들이대는 프랑스독일.

모든 것은 의미가 있어야 하고배움에는 생각이 빠질 수 없으며생각하지 않으면 배울 필요가 없다는 그들의 사상이 부럽기만 하다.

나도 참 시험에 요령없는 학생이었는데 말이지객관식도 다른 답을 들고 가서 따질 만큼이나.

 

시험은 유전적인 것(긴장도시간관념 등)도 개입되는 심리적정신적인 작용에 가깝고 배움 또는 배움의 확인과는 다른 것인데왜 이리도 시험 시험 하게 되는 건지.

객관식 답을 주면그대로 받아 적는 서울대 A+ 학생.

그리고 질문하고 스스로 배워나가느라 교수를 신봉하지 않는, ‘의문 많은‘ 학생.

배움의 의지가 있는 쪽은 결국 학점과 시험의 벽에 부딪히고학습이 아닌 [요령]을 익히게 된다.

 

한국에 일단 들어오면 분해되고 해체되어 기술로 재조합되지 않는 시험이 없다고 한다.

그렇다시험은 기술이라고.


단지 중요한 것은 이것이다. <게임의 룰을 얼마나 알고 있는가>“ _82


패턴의 파악시험을 위한 기술의 습득.

대학교 때 처음 가본 토익학원이라는 데서 영어가 아닌 다른 것을 가르쳐서 (이를테면 답을 골라내는 법얼마나 충격이었는지결국 두 번만에 환불.

 

시험은 어떻게 우리를 지배하는가,에 대한 명쾌한 답은 주지 않는다.

왜냐하면 결국 을 준다는 것은 또 다른 제한을 두는 것이니까.

답이 없는 문제에 가까울지도 모른다시험과 배움의 관계는.

 

인종과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인류는 배우고자 태어났다이 세계를 이해하고이 세계를 더욱 성장시킬 길을 찾는 데 인류의 의의가 있다교육은 이것을 가능하게 만든다그리고 사람들에게 그들이 될 수 있는 가장 최고의 존재가 되어그들이 가능한 최선의 역량을 발휘해 사회에 기여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바로 지금 우리가 설계해야 할 교육의 미래다.” _314

 

그리고 나는 그 어떤 시험을 준비하고 있지 않되순수하게 나의 흥미만을 위해서 책과 글을 읽는 나는인생의 그 어떤 시기보다 즐겁게 배우고 즐기고 생각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다행이다.

 

#시사 #책 #EBS #읽기 #책읽기 #독서 #서평 #책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