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책은 도끼다 - 박웅현 인문학 강독회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각자의 오독을 환영하고, 이미 누군가가 했던 생각일 지언정 스스로만의 방법으로 거기에 이르기를 응원하며, 많음보다 깊음을 그리고 빠름보다 천천히를 주장하는 책. 아, 내가 다른 건 몰라도 오독은 참 자신있는데. (수능준비할 때 언어영역 듣기평가를 잘 듣고 풀어서 0점 맞은 적 있음)

"각자의 오독, 나만의 독법" _표지

 

저자는 표지글 부터 '오독'이라는 단어포 '자기만의 읽기', '스스로에게(만 이라도) 의미읽는 읽기'를 권장하고, 많은 책을 빠르게 읽기보다는 적은 책이라도 바르게 읽기를 조언한다.

 

그리고 그 저자는 우리가 믿고 읽는 '박웅현'. 사실 저자의 이름만으로도, <책은 도끼다>라는 100쇄라는 -누구나 읽으며 바쁘게 지내고 있지만 실제로 누구도 글자를 읽지는 않는 지금의 시간들로는 굉장한- 기념비적인 기록을 가지고 있는 책의 저자. 카피라이터로도 유명하고, 실제로 그의 이름은 비록 모른다 해도 그의 카피나 책은 모르기 어려운 그런 유명인사.

 

결론만 말하자면, "실망시키지 않는다." 세상을 들여다보는 통찰로 독자 나름의 방식으로 읽는 고전을 기뻐하되 스스로 느낀 고전을 함께 나누는 용기가 돋보인다. 1권 <책이 도끼다>가 읽는 것에 대한 입문이었다면, <다시 책은 도끼다>는 어떻게 읽는가에 대한 책의 심화인 것이다.

 

"내가 읽은 책들은 나의 도끼였다. 나의 얼어붙은 감성을 깨뜨리고 잠자던 세포를 깨우는 도끼. 도끼 자국들은 내 머릿속에 선명한 흔적을 남겼다. 어찌 잊겠는가? 한 줄 한 줄 읽을 때마다 쩌렁쩌렁 울리던, 그 얼음이 깨지는 소리를." _(박웅현, <책은 도끼다>)

 

"책 읽기를 이렇게 했으면 좋겠어요. 한 문단을 읽었으면 내용을 온전히 기억할 수 있을 만큼 제대로 이해하는 시간을 충분히 가져 보시길 바랍니다. (중략) 꼭꼭 씹어서 느끼고 행하는 책 읽기가 되시길 바랍니다." _24쪽

 

 책은 세상으로의 창窓이라는 데, 이 책은 나에게 다른 책들로의 창窓. 좋은 책과 행복한 시간에 다른 책들으로의 가교 역할을 멋지게 해줘서, 전편보다 나은 후편을 만들어 줘서 고맙다. 도서관 반납 시간에 쫒겨 결국은 읽지 못하고 반납했던 책, 살만 루시디, <한밤의 아이들>이 멋지게 소개되어 또 침을 흘린다. (이번에 빌리면 또 얼마나 읽을 수 있을까, 하고 생각은 하지만, 또 천천히 읽어가는 게 또 매력 아닌가 싶어- 고뇌는 그만하기로 한다)

 

그 어떤 눈으로 봐도 괜찮다고, 천천히 하라고, 마음껏 오독해보라고, 용기를- 그대도 같이 읽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