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 문장 수업 - 하루 한 문장으로 배우는 품격 있는 삶
김동섭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없이 근사하고 시적이고 비실용적이라 아름다운, 그리고 배우기 어려운 것으로 유명한 '라틴어'.
작년 한동일 교수의 『라틴어 수업』 책의 화재성 이후, 라틴어가 (그 난이도와는 별개로) 이해하면 할 수록 더 '멋진' 언어라는 것이 알려져 버렸다!
그리고 올해, 또 한 권의 라틴어 공부 책이 나왔다.

#김동섭 #라틴어문장수업 #라틴어_문장_수업 #알에이치코리아

제목과 구성이 실은 좀 비슷비슷한 감이 있어, 미투인가 하는 느낌으로 처음엔 사실 으음-,했는데, 다 읽고 나서는? 으흠!했다.

일단 이 두 권의 책이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았던 건 구성이었다.
- 한번쯤은 들어 본 것도 같은 '라틴어 문장(경구)' 소개,
- 해당 문장의 역사적 배경 (또는 그 경구와 관련된 전설이나 신화, 혹은 관련한 개인적인 경험 등의) 썰,
- 해당 문장이 포함 된 글의 앞뒤 문장으로 문맥 소개와 문장 풀이 (단어 성별, 단어 형태, 단어의 위치 등 문장 구조)

라틴어 '문장에 대한' 이야기가 이 두 권의 주요 차이점으로 읽힌다. (인간적 경험과 학습 등의 배경에서 기인했으리라.)
한동일 교수는 바티칸 대법원 변호사라는 타이틀에 어울리게 로마에서의 생활과 자신의 경험이야기를 라틴어 문장과 어울리게 많이 적었다.
김동섭 교수는, 한편, 『언어를 통해 본 문화 이야기』라는 전작과 의미잇기의 느낌으로 라틴어 문장에 대한 신화와 전설이라는 인문학적 배경을 읽어준다.

책의 구조와 구성이 닮았다고 생각했는데, 나의 조금은 성급했던 판단이었음을 깨우쳤다.
실사용되지는 않는 언어의 한계랄까, 이미 존재하는 문장을 연구하며 배워야 하는 라틴어 고유의 특성이랄까, '생존 외국어 학습'법과는 전혀 다른 길을 걷는 라틴어 학습법의 모양새... 라는 것의 모습이 이쪽에 가깝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가 읽고 깨쳐야 할 아름다운 문장은 여전히 많고, 더 많은 라틴어 공부책이 나왔으면 좋겠다.
라틴어는 이미 역사고, 라틴어를 배운다는 것은 언어의 역사를 더듬는 것 같아서.


"외국어를 배운다는 것은 그 민족의 역사, 문화, 신화, 생활 방식, 세계관 등을 배우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라틴어는 천 년 동안 번성한 로마 제국의 언어였다. 왕정에서 시작하여 공화정의 장년기를 보내고, 제정을 통해 전 유럽과 중동 그리고 이집트를 손아귀에 넣었던 로마의 모든 역사가 라틴어 속에 들어 있다. 라틴어 속에는 갈리아(프랑스), 히스파니아(스페인), 브리타니아(영국) 속주에 살던 속주민들의 생활상과 그들의 역사도 기록되어 있다." _5쪽


생의 한가운데 우리는 죽음 속에 있다네 (media vita in morte sumus)

문학이 없는 여가는 죽음이고 살아 있는 인간에게는 무덤이다 (Otium sine litteris mors est et hominis vivi sepultura)



#인문 #인문학 #라틴어 #외국어 #서양어 #수업 #라틴어교실 #라틴어수업 #읽기 #하루한문장으로배우는품격있는삶 #리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