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헤미아 우주인
야로슬라프 칼파르시 지음, 남명성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8년 10월
평점 :
절판

"아내는 왜 떠났을까? 사진을 보며 물었다. 어디로 간 거야? 왜 날 두고 떠났지? 잠깐만, 떠난 사람은 나였다. 날 방황하게 두지 말라고 사진을 보며 빌었다. 그렇지만 아내의 몸을 구성하고 있는 픽셀들에게서 대답을 들을 수는 없었다." _145쪽
#야로슬라프칼파르시 #야로슬라프_칼파르시 #보헤미아우주인 #보헤미아_우주인 #알에이치코리아
죽을 각오로, 아니 죽음을 전제로 떠난 한 체코인 남자.
그는 우주 먼지 '초프라'를 분석하라는 조국의 부름에, 아버지의 죄를 딛고 '영웅'으로 기억되려는 꿈을 움켜쥐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선 사랑하는 아내, '렌카'를 두고 돌아오지 못할 길을 떠난다.
그 길에서 온전한 혼자를 겪어야 한다, 일인의 우주선을 견디는 여정.
수 개월의 홀로- 그러는 중에 결국 아내는 스크린 앞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떠나버린다.
그리고 또 그 혼자와 우울은 (자신의 고독과 혼란의 다른 이름인) '하누시'를 만들어 낸다.
우주에서의 사고, 러시아 고스트 우주인들에 의한 뜻밖의(?) 구조, 그리고 지구로의 (계획에 없던) 귀환.
지구에 도착해서 결국은 아내를 찾아내고, 아버지를 빨갱이로 사회적으로 끄집어내는 것으로 집을 빼앗았던 남자를 찾고, 그 오래된 집에까지 이르게 된다.
"나는 이곳에 존재할 수 없었다. 이곳은 내가 사라졌기 때문에 생겨난 세상이다." _356쪽
결국은 아내 앞에 나서지 못하고, 세상 앞에 나서지도 못한다.
체코의 훌륭하고 아까운 인재로 장렬하게 사라져간 영광의 주인공(으로 이미 알려진)이고, 체코공화국 항공우주국의 우주선은 안전 귀환 의지가 적거나 없었고, 고스트(존재하나 존재하지 않는) 우주인들에 의해 구조되었고...
SF소설이지만 나에게는 사실 SF아님으로 읽혔다.
은근하게 그냥 인간 이야기.
아버지의 죄를 딛고 서야만 하는 인간, 가족의 영광을 위해 사랑하는 가족(아내)를 남기고 떠나야 한 인간, 살아있는게 고독 그 자체였던 인간, 우여곡절과 삶과 죽음음을 넘나든 인간, 죽었다고 여겨지는 인간, 살아왔지만 죽은 채로 살 인간.
우리는 어떤 길을 걷고 있는가, 그 인간이 그가 아니라는 내가 아니라는 보장이 있는가.
이 시대를 살아내면서 우리는 어떤 삶을 걷고 있는가.
삶의 즐거움과 믿음의 뿌리를 살살 건드는 그런 인간류가 읽은 책.
SF라기보다 철학적 소설에 가까운.
"며칠 전에 한 남자가 텔레비전에 나와서 실업은 사람들에게서 인생의 의미를 빼앗아가 불행하게 만든다고 했어요. 그 사람은 또 직업이 의미 있는 즐거움의 원천이라고 했죠. 대체 그 사람 누굴까요? 즐거운 건 커피죠. 멜론을 넣은 보드카와 극장이 즐거움이에요. 연인의 머리칼이 입에 들어간 채 잠에서 깨는 것. 그런 것들이 즐거움이라고요." _221쪽
#소설 #과학소설 #SF#SF소설 #SciFi #SpacemanOfBohemia #Spaceman_of_Bohemia #우주인 #보헤미아 #영미소설 #영화화 #아마존화제의베스트셀러 #역사 #사회비평 #풍자 #체코우주국 #체코우주인 #벨벳혁명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