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 권 독서법 - 하루 한 권 3년, 내 삶을 바꾸는 독서의 기적
전안나 지음 / 다산4.0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읽기 누구나 즐길 수 있다


저자는 특별한 사람이 아니었다.

나랑 똑같은 워킹맘. 책을 좋아하고. 평범한 회사생활에 육아까지 해야하는 평범한 여자다. 다른점을 찾는다면 그녀는 1천권의 독서이후 2천권독서에 도전하고 있고. 1천권의 독서법을 통해 보다 쉽고. 재미있게 책을 보기위해 이 책을 펴 들었다는 것이다.


책을 1천권이나 읽었으니. 영화나 소설에 나올법한 인생을 즐기게 됐나? 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그러니까 이런 책도 집필했겠지 하고 말이다. 하지만. 그녀는 책을 읽기 전에도 읽고 나서도 똑같은 삶을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삶에 여유가 생겼고. 아이를 대할때도 회사생활을 할때도 임하는 자세가 달라졌다고 했다. 그리고 어떤 주제로 이야기를 할 때 뒤처지지 않을 정도의 지식을 갖고 이야기 할 수 있게 되었다.


저자는 많은 사람들에게 1천권의 책을 읽고 있다고 하면 시간이 많네요또는 대단하시네요라는 시선을 보낸다고 했다. 육아맘, 워킹맘으로 사는 그녀에게 여유 시간이 많을리 없다는건 같은 입장에 있는 사람들이라면 다 알 것이다. 그녀는 우리가 밥을 먹듯 보는 책을 읽고온 것이다. 원래부터 책을 좋아했다. 대학생때까지는 원하는 책을 많이 읽고 즐겼다고 했다. 하지만 사회에 나와 직장을 잡고 일을 하고 나서는 책과 점점 멀어지게 됐는데. 어느날, 회사에서 실시한 특강 하나에 다시 책을 읽을 수 계기가 되었다고 했다.


3. 1천권

거의 매일 1권씩 책을 읽었다는거다.

1주일에 한권도 내게는 대단하다 싶었는데... 1천권이라니. 감히 엄두도 못낼 숫자였다.

내 평생 죽기 전까지 1천권을 볼 순 있을까??? 사람이 살아가면서 항상 계획적으로 움직일 수만은 없다. 집안 행사가 있을 수도 있고 몸이 아플 수도 있는거니까. 그리고 어떤 날은 피곤해서 쉬고 싶은 날도 있을 것이다


짜투리시간 활용하자


저자는 이렇게 권한다.

책을 꼭 시간내서 읽어야 한다는 의무감을 받기 보다는 아침에 일어나서 10. 잠자기 전 30. 출퇴근길에 그리고 점심시간을 이용해서 읽는다면 1주일에 1~2권 정도는 충분히 읽을수 있다. 나에게는 짜투리 시간이 없는데? 라고 생각했는데 한 번 더 생각해보니 아침에 일어나서 핸드폰, 잠자기 전에 핸드폰, 쉬시는 시간, 점심시간 틈틈이 핸드폰을 보고 있었다. 그 시간만 잘 활용해도 내게는 적어도 1시간 이상을 책을 보는데 사용할 수 있었다솔직히...머리로는 이미 알고 있었지만 실천하기란 쉽지 않았다.


책을 본다면 다양한 책을 보면 좋겠지만 처음에는 내가 좋아하는 책 위주를 보는게 좋다.

책을 접해보지 못해서 좋아하는 책의 종류가 없다면 지금 하고 있는 일의 전문서적으로 시작한다면 커리어를 쌓는데도 도움이 되어 회사에서도 활용할수 있으니 책과 친해지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만화책도 잡지책도 좋다.

어느정도 책에 적응이 되었다면. 다양한 책을 접하는게 좋은데. 이때도 책을 고르기 어렵다면. 베스트셀러나 스테디셀러책을 찾아보면 좋을 것이다. 간혹 베스트셀러는 출판사들의 경쟁으로 순위안에 올라와 있기도 하지만 스테디셀러는 대중들에게 오랫동안 꾸준히 많이 읽혀온 책들로 구성되어 있는것들이라 이런 책들은 대부분 실패하기 어려운 책들이기 때문이다.



동서고금 막론하고 책읽기는 중요시 되어 왔다


책을 잘 읽을 수 있는 나만의 공간을 찾아가는 것도 좋다. 요즘엔 이쁜 카페들도 많고 하니 책한 권들고 가서 차 한잔 마시며 여유를 즐기는거나 독서를 위한 여행을 떠나는 것도 좋다.

조선시대 세종때는 사가독서라하여 산속에서 조용히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하였고, 영국의 빅토리아여왕은 셰익스피어휴가라고 해서 3년에 한 번씩 한 달 유급휴가를 주고 셰익스피어작품을 읽고 독후감을 제출하게 했다고 한다. 이처럼 독서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중시되어 왔다.



황새따라가는 뱁새는 되지말자


저자는 500권을 읽고 나서 책을 고를 수 있었고. 800권을 읽고나니 작가의 꿈을 꾸게 되었다고 했다. 책을 읽는게 대단한 일 일수는 있지만 대단하다고 여길 필요는 없는 것 같다.

그만큼 책은 어렵다. 재미없다. 라는 생각의 벽을 부숴버리자는 거다. 나와 평생 함께 가는 길동무처럼 편하게 생각할 수는 없는 걸까??

 

"남들보다 더 잘하려고 고민하지 마라. 지금의 나보다 더 잘하려고 애쓰는게 중요하다"

1천권. 2천권...어떤 이는 1만권의 독서를 했다고 한다.

에디슨이나 빌게이츠, 모택동 같은 몇몇 예외의 인물들은 도서관 통째로 읽기 독서법을 실행에 옮겨다곤 하지만 뱁새가 황새 따라가면 가랑이 찢어지기 마련이다. 1주일에 한권이든 1달에 한권이든. 내게 맞는 책읽기를 실천해서 꾸준히 함께 할 수 있는 게 가장 좋은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