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승리법은 현실을 외면하고 자기만의 우물 안 세계에서 안심하고 살다가 허무한 죽음에 이르게 하는 정신의 암 같은 것이겠지.

누구나 살면서 한 번쯤 나보다 약한 사람들을 대할 때 무시하거나 업신여겨 본 적이 있을 거야. 나보다 힘이 세거나돈이 많거나 높은 위치에 있는 사람들을보면 무조건 존경하며 나 자신을 낮추는 행위처럼 말이야. 그런가 하면 뻔히 나쁜 결과가 보이는데 잘못에 대해반성도, 바로잡을 생각도 하지 않고 무조건적인 자기 위안과 대책 없는 합리화에 빠지기도 해. 좀처럼 패배를 인정할 줄 모르는 아큐의 정신승리법‘이 바로 그런 것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렇다면 아이디어나 계획 혹은 목적의 씨앗을 어떻게 마음에 심을 수 있을까? 생각을 반복하면 된다. 어떤 아이디어는, 계획이든,목적이든 상관없다. 그래서 확실하고 중요한 목표를 글로 쓰고, 기억으로 기록하고, 그것이 잠재의식에 울려 퍼질 때까지 매일같이 큰 소리로 반복해 읽으라고 한 것이다. 어떤 생각이 정신을 차지하면, 그 생각대로 된다. 어떤 사람이 되겠다고 선택하면 바라는 삶을 살 수 있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매주 시체를 보러 간다 - 서울대학교 최고의 ‘죽음’ 강의 서가명강 시리즈 1
유성호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생에 대한 환상을 가지더라도, 즉 죽음을 어떻게 인지 하는 모든 생명체는 반드시 언젠가는 소멸 하게 된다. 따라서 인간의 죽음은 실전적으로 반드시 부딪쳐야 하는 사건이며 우리 주변에도 일상적으로 벌어지는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매주 시체를 보러 간다 - 서울대학교 최고의 ‘죽음’ 강의 서가명강 시리즈 1
유성호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떻게 죽을 것인가? 라는 문제는 과거와는 매우 다르다. 과거에는 자신의 삶의 마지막을 알고 “죽음은 서늘한 여름과 같다” 는 말을 남길 수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마음에 품었던 이야기를 남길 틈도 없이 병원에서 아무런 준비나 의식 없이 마지막 생을 보내게 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영생에 대한 환상을 가지더라도, 즉 죽음을 어떻게 인지 하든 모든 생명체는 반드시 언젠가는 소멸 하게 된다. 따라서 인간의 죽음은 실존적으로 반드시 부딪쳐야 되는 사건이며 우리 주변에도 일상적으로 벌어지는 일이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우리는 죽음에 대한 논의를 금기시 하고, 죽음 이라는 단어 자체를 혐오 하고 두려워하며 영생이라는 말에 오히려 끌려왔다.

그러나 삶의 마지막 여정이 죽음이라는 사실을 담담히 받아들여야만 현재 우리의 삶을 더 온전하게 살 수 있다.

현재를 즐겨라!
죽음을 기억하라!

삶의 마지막 순간에 자신이 어떤 모습이기를 바라는지 끊임없이 묻고 답 하는 과정에서 우리의 삶은 더 풍성해지고 깊은 의미를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환자 혁명 - 약과 병원에 의존하던 건강 주권을 회복하라
조한경 지음 / 에디터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질병은 외부에서 들어오는게 아니라 이미 몸 속에 있던 병균들이 원인이 된다. 내부에 균형이 깨지면서 그때 들고 일어나 병을 일으키고 증상을 일으킨다.

내부환경을 좋게 유지하기 위한 영양, 운동, 스트레스 관리, 수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