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쫌 아는 10대 - 보호받는 청소년에서 정치하는 시민으로 사회 쫌 아는 십대 8
하승우 지음, 방상호 그림 / 풀빛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하세요.

2020년도 총선이 얼마 안남았는데요.
다가오는 총선이 특별한 이유는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만 18세, 즉 고등학생인 청소년들도 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첫 선거이기 때문이에요.

4학년이 되는 저희 아이가 차를 타고 가다가 거리에 걸린 선거홍보플랜카드 를 보고 물어보더라구요.
왜 저 아저씨는 자기 얼굴이랑 이름을 크게 인쇄해서 걸어놓느냐구요.
그래서 "응~ 곧 국회의원 선거를 하는데 본인을 알려서 자신에게 투표하게 하려고 그러는 거야."
그랬더니 "국회의원이 하는 일은 뭔데??"
"국민을 대표해서 법을 바로 세우는 일을 하지. 그래서 우리가 직접 뽑아야 해.
잘못 뽑으면 국회의원이 해야 할 일들을 잘못해서 국민들이 힘들어질 수 있고 나라도 어려워지지."
그리고 계속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이 쏟아져 나와요.
그러다보니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삼권분립까지 나오고..
결국 선거에 관한 책 읽자!!로 이야기가 끝났어요.

그리고 책세상맘수다 카페를 통해
풀빛 출판사 하승우 글 방상호 그림의 <선거 쫌 아는 10대>를 받아보게 되었습니다.
<선거 쫌 아는 10대>는 삼촌이 16살, 18살 조카에게
정치를 올바른 방향으로 인도하는 선거권을 현명하게 행사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책이에요.
 

1.jpg

​.
선거의 역사, 각국의 선거 제도, 정당과 민주주의 등 정치 개념,
투표의 기준, 선거 후 감시자로서 역할, 10대의 선거권과 젊은이들의 정치 등에 대해 다루고 있어요.
저희 아이는 4학년이라 용어와 내용이 어려운 부분도 있어서 중간부터 읽도록 했지만,
중학생이상이라면 재미있게 읽을 만한 내용들이에요.
 
2.jpg
먼저 선거와 투표의 차이에 대해 이야기 해줘요.
투표는 표시를 하여 어느 한편을 지지하는 행위,
선거는 한 집단의 구성원들이 일정한 절차에 따라 특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을 자유롭게 선출하는 행위.
사실 저도 투표=선거 이렇게 인식하고 있었는데..
음... 학교 다닐때 공부를 열심히 안 한게 이렇게 티가 나네요.

3.jpg
그리고 한국의 선거권 연령이 만18세로 낮아지게 된 배경과 의의에 대해서도 알 수 있어요.
아직 아이들이 어리도 주변에 청소년기의 아이들이 없어서 그런지 크게 신경쓰지 않았는데,
책을 읽다보니 공감되는 부분도 많고 아이들이 형명한 한 표를 행사할 수 있도록 잘 다르쳐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4.jpg
또한 선거에 후보로 나갈수 있는 권리, 피선거권의 연령과 점점 더 젊어지는 정치권에 대한 이야기도 꽤 흥미로웠어요.
나이 든 정치인들의 연륜과 경험도 중요하지만,
젊은 사람들의 열린 사고 방식과 다양한 시각이 정치권에 반영되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이 들었죠.
아직 국내 공직선거법은청소년들에게 피선거권을 주어지지 않지만
다양한 정치활동 방식에대해 소개해주는 점이 마음에 들었어요.
 
5.jpg
아이보다는 제가 더 재미있게 읽은 <선거 쫌 아는 10대>,
코로나 19속에서 각자 공부하기에도 바쁘겠지만,
인생 첫 선거를 앞둔 아이들에게 이 책을 추천하고 싶어요.

풀빛출판사 <선거 쫌 아는 10대> 서평 이렇게 마치고요.
유익한 책 읽을 기회 주신 책세상맘수다에도 감사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