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지의 제왕 1 - 반지 원정대(상)
존 로날드 로웰 톨킨 지음, 한기찬 옮김 / 황금가지 / 2001년 3월
평점 :
절판


반지의 제왕 모두 영화로 보았으리라 사려된다.10대 영미 문학에 꼽히며 판타지 소설의 장을 펼친 소설이다. 전 6권으로 되어 있으며 - 반지원정대 - 두개의 탑 - 왕의 귀환 이 세 소재목을 가지고 있다.

호빗, 엘프, 마법사, 난쟁이, 인간 이런 종족들이 나오고 절대반지의 파괴를 위해 호빗인 프로도와 그의 친구들이 머나먼 여정을 떠나게 된다.. 사람들이 <스타워즈>나 <반지의 제왕> 같은 있지는 않았지만 있을 것 같은 이런 대서사시에 열광하는지 알게되었다..

스타워즈에 'I'm your father~'라는 유명한 명언이 있지만 나는 반지의 제왕도 '살아있는 자들 중에 많은 자들이 마땅히 죽어야 할 것들이지. 그리고 죽은 자들 중에 살아있으어 할 자들도 있고. 그렇다고 그자들을 살릴 수 있나? 그러니 함부로 죽음의 심판을 내려선 안될 거야.' 라는 말을 최고로 꼽고 싶다..

나는 책을 굉장히 빨리 읽는 편이다. 하지만 대사 한마디한마디비록 변역판이라 할지라도 너무나 주옥같은 말과 대사들이 있다. 그래서 천천히 읽을 수 밖에 없었다..

누가 반지의 제왕을 시시하다고 치부하는가. 과연 그사람이 어떤 소설을 어떻게 읽고 그런말을 하는지 모르겠다.(취향이 다르기는 하지만..) 그리고 해리포터와 비교하지 말았으면 하는 소망이 있다. 해리포터는 잘쓰여진 어린이소설(비록 어른들도 열광한다처도 반지와 비교한다면 그렇다)이다. 하지만 반지의 제왕은 잘 쓰여진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왕퇴의 귀부인 1
웨난 지음, 이익희 옮김 / 일빛 / 200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마왕퇴의 귀부인> 지하철 광고문구에서 처음 보게 되었다 그때는 <마왕 퇴의 귀부인>즉 퇴의라는 마왕의 귀부인이라고 생각했다. 즉 무슨 판다지 소설이나 괴기 소설 따위로 여겼다. 이런 어이 없는 사태가 있다니..하지만 따지고 보면 그것과 엄청나게 동떨어져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발굴되지 않은 고분의 2000년전의 시체라고 볼 수 없는 완벽한 시신. 얼마나 신기하고 놀라운 사실인가? 그리고 이것이 사실이라니.. 몸서리 쳐진다. 고분안에 있었던 기체도 궁금할뿐더러 여러가지 미스터리한 사건들. 과연 과거의 사람들이 하이테크놀로지를 부르짓는 우리보다 더 고도의 문명을 가진것이 아닐런지. 아무튼 이 기회에 재미있는 책을 보았다.(회사에서 몰래 읽느라 진땀 꾀나 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플러그드 보이 1
천계영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1997년 4월
평점 :
절판


정말이지 처음 이 만화를 봤을때(몇년전이던가! 내가 고등학생이였으니깐...1997년이니...6년전이던가?)는 이런 쇼킹한 내용이 우리 만화계에 나타나리라고는 생각치 못했다. 간단한 말투와 어이없는 유머러스가 섞여있는 순정만화의 결정체라고나 할까? 내가 보기에 작가 천계영은 현겸이와 지율이의 캐릭터에 많은 애정을 가진 것 같다. (오디션에 자주 등장한다) 하지만 2002년 지금 세월이 흘렀어도 변함이 없는 것은 그때나 지금이나 권장 소비자가는 3000원이라는 사실이다. 헉! 내등이 가렵네.. 날개다 돋아나려고 하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은자의 나라 - 사진으로 본 옛 한국
J.B.버나두 지음 / 와이비엠 / 2002년 4월
평점 :
절판


네셔널 지오그래피에서 촬영한 사진집이다. 과거 한국의 모습이 잘 드러나있다. 흑백사진에 약간의 보정을 통한 컬러덧입힘도 볼 수 있다. 100년전 한국의 실생활 모습에서 80년대에 이르기까지의 내용을 총망라했다. 그래서 그다지 전문적인 사진집은 아니다. 외국인들에 눈이 비친 한국이니 말이다. 다소 산만한 점이 없지는 않지만 그들이 찍은 사진에 절묘함이란... 가슴을 내놓고 다니는 여인들. 널뛰기 소달구지 장승앞에 있는 사람 등 그림여 곁들인 사진과 기사들이 재미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술가로 산다는 것 - 숨어사는 예술가들의 작업실 기행
박영택 지음, 김홍희 사진 / 마음산책 / 2001년 10월
평점 :
품절


예술가로 산다는건 참 어려운 질문이다. 어디까지가 예술가이고 어디까지가 장사꾼인지 그 경계가 모호하고 아이러니하다.

이 책을 읽어보기전 이책에 등장하시는 작가분을 먼저 만나보았다. (존함은 밝히지 않겠다) 초라한 행색. 거침없는 방언들. 뗄 수 없는 담배연기. 가까운 큐레이터와 친분이 있는 분이였기에 자연스레 합석을 했고 소탈한 저녁과 차를 마셨다. 인사동 허름한 식당의 된장찌게와 그분을 위해 준비된 반쯤 마시다만 소주.

예술 나부랭이를 부르짖으며 거드름을 피우던 사이비 작가와는 달랐다. 나의 무지로 몇마디 하지 못하고 알아듣지 못하는 말들을 조금씩 주고 받았지만 예술을 위해 끼니를 거르며 예술혼을 불태우는 작가의 눈에서 섬광이 비치는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처음에는 견본 무료배포 책자인줄 알았지만)나중에 책자를 통해 예술가란 무엇인가에 대해 절실히 생각해볼 기회가 생겼다.

마지막으로 삽입된 작품사진이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하다. 실제와의 괴리감이 있다. 실제처럼 질감과 분위기를 접할 수 없기때문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