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철학자 루푸스 - 앞만 보며 살아가는 어리석은 인간에게 던지는 유쾌한 돌직구
안드레아스 슐리퍼 지음, 유영미 옮김 / 시공사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친정집엔 고양이 철학자 루프스와 같은 잡종 고양이가 한마리 있다. 단지 차이라면 붉은 갈색과 회색의 차이랄까.. 책속의 루프스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읽다보니 결혼전까지 함께 동고동락했던 우리 고양이가 많이 생각났다.

따뜻한 난로를 좋아하고 생선통조림에 환장하는 루프스처럼

우리 고양이도 햇볕이 들때면 베란다로 나가 일광욕을 즐기고, 겨울이면 따뜻한 방바닥만 찾아다녔는데...

생선통조림은 뭐 말할것도 없이 좋아했고..^^

 

루프스가 말하는 인간들의 행동을 들여다보면 우리들은 참 어리석고 힘든 세상을 살아가는것 같다.

 고양이처럼 잠을 많이 자면 말을 많이 안해도 되고, 그러면 일도 많이 안생기고, 스트레스도 받지 않을텐데..

책속의 말처럼 쉽지만은 않은일 같다.

어느 라디오에선가 나왔던 이야긴데.. 부부나 연인을 대상으로 잠과 싸움의 상관관계를 조사했는데 잠을 많이 자고 이성과 만날경우 잠을 많이 자지 않고 만났을 때 보다 싸움을 덜하고, 오히려 관계가 좋아졌다고 한다. 잠을 많이 자면 덜 예민하고 서로에 대한 배려심이 커져서 그렇다고 한다. 그렇듯 고양이의 완전한 휴식이 우리를 좀 더 지혜롭게 한다는건 맞는것 같다.

 

그리고 루프스의 말대로 고양이는 참 신중한것 같다. 어찌보면 너무 고지식할 정도로 ,,

새롭고 도전적인것 보다는 안정적이고 돌다리도 두들겨보고 건너는 아주아주 신중한 고양이들.
하지만 호기심이 많아 탐색하는 것을 좋아하고 탐색이 다 끝나

자신에게 인식이 되면 더이상 호기심을 갖고 들이대진 않는다.

그렇듯 어떤 상황이 벌어지면 자신이 아는 것이나 인식 된 것이 아니라면 늘 조심하고 신중하게 행동하는 고양이들.

고양이들의 이런 지혜를 우리가 배운다면 왠지 보이스피싱과 같은 신종사기도 걸리지 않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고양이는 먹이를 먹을때 양을 조금 주던, 많이 주던 본인이 배가 부르면 더이상 먹지 않는다.

그런면에서 욕심이 없고 적당히 그칠 줄 아는 지혜를 갖고 있다.

여행을 갈때마다 항상 우리 고양이가 마음에 걸렸는데.. 2-3일 먹을 양을 밥그릇에 물과 함께 넣어주고 가면

알아서 잘 먹고 싸고 했던 기억이 난다.

우리들은 달콤한 유혹이 오거나 뭔가 분에 넘칠만큼의 기회가 왔을때 너무 욕심을 부려 오히려 일을 그르치는 일이 많다. 루프스는_  탐욕은 어리석은 것이라며 적당히 그칠 줄도 알아야 한다고 충고한다.

 

이렇듯 고양이 루프스가 들려주는 이야기들을 읽고 있다보면 한편의 동화책을 읽은것 같은 느낌도 들고,

기분이 조금은 차분해지는 느낌이 들었다. 한편으론 유쾌한 닉넴때문에 피식 웃기도 했고, 고냥이 자체에 대해서도 알게 된 재밌는 책이었다.

늘 잠만자는 잠탱이, 시크하고 깔끔떠는 도도한 야옹이로만 생각했었는데 아무말 없이 조용히 내 곁에 있어 주었던

야옹이에게 배울점이 참 많다는거.. 이 책을 통해 한번 더 느끼게 되었다.

 나처럼 고양이를 키운적이 있거나, 키우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읽으면서 한번쯤 발밑의 고양이를 쳐다봤거나, 머릿속으로 떠올렸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