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내가 잊고 있던 단 한 사람
정채봉 지음 / 이미지앤노블(코리아하우스콘텐츠)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 내가 잊고 있던 단 한사람. 정채봉.

얼마전 읽었던 오광진 작가님의 우화소설, 물 한잔과 토마토 두개라는 제목을 갖고 있는 책 한권이 생각이 났다. 어른들, 성인들을 위한 동화라는 측면에서는 비슷한 면이 많았던 책이었다. 나의 마음을 다시 동심의 세계로 데려다 주었던 책. 읽으면서 깨달은것도 많고 다시금 나를 되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책이었는데 정채봉 작가님의 이번 책도 나에게 그런 깨달음을 준 책이었다. 물론 앞서 말한 책은 소설이라면, 이 책은 작가의 삶을 다룬 에세이라는 점에서 조금은 차이가 있었다. 그의 삶을 엿볼 수 있는 에세이집. 중간중간 시가 들어감으로써 작가의 창작열과 문학적 정취를 느낄 수 있었다. 가볍게만 읽을 에세이 집이 아니라는 생각도 들면서...만약 우리 아빠가 갑자기 아프시다면 내 마음은 이루 말할 수 없이 고통스럽고 가슴이 아플 것이다..나와 같이 느꼈을 딸의 마음을 안다는 듯..딸에게 자신이 떠나도 꿋꿋하게 잘 살 수 있는가에 대해 이야기 하며 재검을 받지만 결국 병원에 입원하여 본인의 이야기를 써 내려간 것이다.
그의 글을 읽다보면 토속적인 단어들이 많이 등장해서 읽는 나에게 왠지모를 동질감을 많이 안겨준다. 시골에서 자란 경험이 있어서 나물들 얘기나 일상생활에서 등장하는 것들이 소소하고 소박해서 예전 어릴때 놀던 생각도 나고 구수한 할아버지 이야기를 듣는 것 같아 정감이 많이 갔다. 가장 마음 아팠던 구절은 그가 중환자실에서 새해를 맞이하는 부분이다. 마취에서 제대로 깨지도 않은 채 목이 말라 간호사에게 물을 달라고 손짓했는데 그의 코와 입에 끼어진 마우스 피스는 가래용이었고, 물이 목으로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곧장 내장으로 넘어간다고 표현하면서 자신의 육체에게 미안하다고 몇번이고 얘기하는 그 부분...그리고 그가 적어내려간 시가 너무 마음이 아프다. 그리고 그 부분을 읽으며 나도 모르게 눈물을 흘렸다.

중환자 실에서

탁자위
맑은 유리컵에 담긴
물이 자꾸 먹고 싶어
입을 벌리다가
나는 내 육신이 불쌍해졌다
주인을 잘못 만나
이 무슨 고생인가
나는 내 육신에게 진정 사과했다
미안하다
미안하다
미안하다
-p.83

나, 자신을 세상에서 가장 소중하게 여겨야 한다는 자존감을 불러 일으켜주는 책이다. 어떠한 힘든 일이 있더라도 나를 사랑하고 나를 아끼며 외롭고 힘든 상황을 긍정적으로 이겨낸다면 이 각박한 세상을 살아가기에 조금이나마 힘이 생기지 않을까 생각하며..지금 이순간 진정한 행복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고 생각하는 이가 얼마나 될까? 나또한 일상속의 작은 행복들을 느끼며 감사하며 지내야지 하면서도 잘 안되는데 말이다. 아픈 상황에서도 병마와 싸우는 그의 이야기와 그가 스쳐갔던 일상 속인연들에 대한 얘기를 딸이 아름답게 풀어낸.. 참 부러운 부녀지간을 그린 책인것 같다. 그런 그들의 사이가 부럽기도 하면서 일본 다큐멘터리 영화 [엔딩노트]가 생각이 났다. 그 영화 또한 따뜻한 부녀지간의 사랑을 다룬 영화이기에...(못보신 분은 함 봐보셔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