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무 살의 사회학 - 콩트에서 푸코까지, 정말 알고 싶은 사회학 이야기
랠프 페브르 외 지음, 이가람 옮김 / 민음사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학. 이 책을 보기전까지만해도 추상적이고. 쉬이 설명할 수 있는 학문. 이론. 그 이상 이하도 아니었다면,

이 책의 머리글 부분에 암람교수와 그의 학생 이마의 대화를 통해 독자들이 궁금해 하고 목말라 하는 "진짜"사회학에 대한

목마름과 호기심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학생 이마가 사회학에 대해 털어놓는 고민들 사회학도. 사회학과 학생으로서 같는

질문들과 비판들에 암람교수는 의아해하면서도 그를 이해하기 시작한다. 결국 이들이 하는 고민이 질문들이 (사회학과 학생들 혹은 사회학도로 국한짓지 않고서) 우리가 가질 수 있는 실질적인 질문들이 아닐까 싶다.

 

책은 정말 이해하기 쉬운 구조와 형식을 취하고 있다.

밀라라는 여주인공을 통해서 사회학의 대한 기본 개념에 대해 질문하고 있다. 이 주인공이 사회학의 대한 기본 개념, 이론에 대해서 고민하고 또 번뇌하는 모습에서 이것을 찾아 가는 것이 참 중요하지만 모든 이들이 간과하고 있는 부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밀라의 삶과 생활을 통해서 사회학을 드러내고 있다. 밀라가 병원을 찾아가서 만나게 되는 의사, 그리고 당연히 "환자"로서 의사를 만나게 되는 밀라의 상황을 통해서도 사회학의 기본 개념을 볼 수 있다.

 

참 재미있었다. 읽으면서 이렇게 사회학을 이해할 수 있구나! 라며 무릎을 치던 순간이 몇번씩 계속 되었다. 밀라가 몸담고 있는 세상 그리고 가족. 그녀가 만나는 친구들 그리고 대학에서 느끼는 많은 물음과 생각들을 통해 사회학은 독자들에게 좀더 친근하게 다가온다. 밀라의 삶에서 만나는 소소한 사회학의 덩어리들은 절대 우리가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또한 간과할 수 있는 요소는 아니다. 오히려 자연스러우리만큼 이 질문들을 풀어나가는 작가의 사회학에 대한 이해력과 능숙함, 유연함이 돋보이는 책이었다.

 

나와 같은 일반 사람들 뿐 아니라 사회학도가 있다면 (그들이 힘들어하는 교과서나 주전공 교재) 그들의 기본지침서로도 추천해줄 만한 책이라 생각되어 감히 추천해본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축가, 건축을 말하다 토트 아포리즘 Thoth Aphorism
로라 S. 더스키스 엮음, 박유안 옮김 / 토트 / 2013년 6월
평점 :
절판


건축가, 건축을 말하다

- 로라 S. 더스키스 엮음 / 박유안 옮김

 

 

 

건축가 뿐 아니라 건축 평론가들의 격언집, 성경으로 치면 잠언집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책에는 전 세계의 다양한 건축가들과 평론가들의 가치관과 사상을 느껴 볼 수 있는 격언들이 수록되어 있다.

그들만의 기준, 가치관. 어쩌면 보통의 사람들이 이해 할 수 없는 건축가로서의 자부심과 포부를 엿볼 수 있기도 하다.

 

한가지 사안에 대해 그들의 뚜렷한 견해차이를 보이는 한편,

그들의 작업에 대한 자신감과 포부, 불안함도 볼 수 있다.

그들의 삶에서 그리고 그들의 작업속에서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 외의 것들이 그들에게 어떤 의미인지도.

 



 

 

 

 

 

형태와 기능에 대한 루이 설리반과 필립 존슨의 견해 차.

 

 

 

 

유쾌한 그들의 성향도 엿볼 수 있다.


 

 

 

책의 마지막 장에는 건축과와 평론가들의 색인이 나와있는데,

그들의 삶을 그리고 건축물을 한번씩 다 찾아보고 가보고 싶을 만큼, 매력적이었다.


 

 

 

 

 

어쩌면 나와 같은 보통의 삶을 사는 독자에게, 건축가는 엄청난 능력을 가진 예술가이다.

그래서 사실 궁금하면서도 느껴지는 거리감으로 인해 멀리서 그들의 건축물에 감탄을 보낼 뿐이었다.

이들의 생각을 엮어 만든 이 책을 읽고 나니,

그 거리감에 얼굴이라도 내밀 수 있는 용기가 생겼다고나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