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와 있는 미래 - 한국 청소년 아너소사이어티를 위한 4차산업혁명의 패러다임 이미 와 있는 미래 Revolution 1
크레이그 맥클레인 지음, 이우현 감수 / 서런 / 2018년 2월
평점 :
절판


내가 학창시절에 조만간 "사"가 들어가는 직업군은 이제 예전보다 인기가 덜 해질거라고들했는데, 아직까지 인기가 여전한걸 보면 세상은 참 안변하는거 같으면서도, 또 어떤면에서는 예전에는 생각지도 못했던 별풍선 같은거로 돈을 벌거나, 캐시워크 같은 어플로 커피도 바꿔먹는 시대가 왔다. 신기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무형의 행위가 실제적인 물질로 나에게 보상이 오다니! 이런 단순한 예가 아니라 내가 미처 생각지도 못한 분야에서 가늠하지못할정도로 엄청난 변화발전이 이루어진다고 생각하니 따라갈 생각만으로도 참 눈앞이 아찔하다. 이 책은 따라가지말고 트렌드세터가 되어 이 변화의 흐름의 주인공이 되라고 하고 있다. 준비하는 자에게 기회가 온다고도. 지금 조그만 책상에 갇혀서 그책상이 세상의 전부인 학생들에게 세상에는 더 많은 길과 문이 있다고 전해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미 와 있는 미래 - 한국 청소년 아너소사이어티를 위한 4차산업혁명의 패러다임 이미 와 있는 미래 Revolution 1
크레이그 맥클레인 지음, 이우현 감수 / 서런 / 2018년 2월
평점 :
절판


세계 여러나라에 대한 정보가 가득한 여행가이드 북이 있다면

이 책은 곧 도래할, 아니 이미 다가와있는 미래에 대한 안내서(가이드북)느낌이다.

 

미래는 어떠한 모습으로 다가와있으며 어떤 변화들이 기다리고있고

그러한 변화속에서 우리는 특히 청소년들은 어떤 변화의 낌새를 알아채고 미리 준비를 하면 좋은가에 대한 친절한 설명이 들어있다.

 

변화발전의 현상진단은 물론 변화라는 현상이 암시하는 것들.

그리고 예전부터 지금까지의 변화흐름에 대한 패러다임 캐치

직업군, 마음가짐, 미래비전 구석구석 가려운 곳을 긁어가며 친절한 안내를 한다.

 

변화는 급격하고 예측불가이지만 미리 내실있는 준비를 한다면 이러한 시대변화를 이끄는 트렌드세터로 진화할수 있다.

 

열린마음, 열정, 융통성, 자기절제... 과정은 험난하겠지만 그 험난한 길에 반드시 좋은 것들이 기다리고 있다고 전달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미 와 있는 미래 - 한국 청소년 아너소사이어티를 위한 4차산업혁명의 패러다임 이미 와 있는 미래 Revolution 1
크레이그 맥클레인 지음, 이우현 감수 / 서런 / 2018년 2월
평점 :
절판


여행사에 여행프로그램에 대한 안내서가 있다면, 이 책은 4차산업혁명시대의 미래에 대한 안내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꿈은 삼키는 게 아니라 뱉어내는 거다
홍승훈 지음 / 젤리판다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래희망이 뭐야?'라는 질문은 학창시절말고는 들어본적이 없는것같다.

성인이되어서는 분기의 목표, 상반기하반기의 목표, 올해의 목표, 신년목표 등만 세우고 지키기에 급급했지, 멀리 내다보고 나의 꿈은 무엇인가.. 나의 '희망'이란것은 무엇인가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본적이 없다.

아마 꿈이라는 것을 꾼다는 것은 성이이 되고나서부터는 몽상가, 혹은 부적응자,처럼 보였으리라.

꿈보다는 목표/계획이라는 말을 사용했던 것 같다.

꿈은 오늘을 희망차게 시작하는 힘을 준다. 부끄럽다고 생각말고 입밖으로 내는 순간, 이미 공표가 되기때문에 이루려는 의지가 더 강해진다고한다. 꿈은 입밖으로 낼수록 구체화되고 현실화 된다.

꿈꾸는데 늦은 나이는 없다. 자신의 가능성을 믿고 하루하루를 충실하게 단력하는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꿈은 삼키는 게 아니라 뱉어내는 거다
홍승훈 지음 / 젤리판다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래희망이 뭐야?'라는 질문은 학창시절말고는 들어본적이 없는것같다.

성인이되어서는 분기의 목표, 상반기하반기의 목표, 올해의 목표, 신년목표 등만 세우고 지키기에 급급했지, 멀리 내다보고 나의 꿈은 무엇인가.. 나의 '희망'이란것은 무엇인가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본적이 없다.

아마 꿈이라는 것을 꾼다는 것은 성이이 되고나서부터는 몽상가, 혹은 부적응자,처럼 보였으리라.

꿈보다는 목표/계획이라는 말을 사용했던 것 같다.

꿈은 오늘을 희망차게 시작하는 힘을 준다. 부끄럽다고 생각말고 입밖으로 내는 순간, 이미 공표가 되기때문에 이루려는 의지가 더 강해진다고한다. 꿈은 입밖으로 낼수록 구체화되고 현실화 된다.

꿈꾸는데 늦은 나이는 없다. 자신의 가능성을 믿고 하루하루를 충실하게 단력하는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