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는 99% 엄마의 노력으로 완성된다 - 가정학습 이론편
장병혜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3년 9월
평점 :
품절
선물받은 이 책은 설 연휴 기간에 차 속에서 금새 다 읽어 버렸다. 작가의 특이한 이력도 이력이지만(자기 아이 키우기도 힘든데, 국적도 다른 아이들을 제3국에서 셋이나 일하면서 키우다니), 제목에 정말 공감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읽다보니 약간의 모순도 있는 것 같다. 정서가 안정되게 키우는 것이 중요하고 한국 젊은 엄마들의 조기교육 열풍에 일침을 가하지만, 저자 본인도 방향만 다르다 뿐이지 저자 스스로도 자기가 하고 있는 교육의 이론에 따라 아이들을 어떤 목적의식(가령 사회적 성공이나 좋은 대학, 점수를 위해)을 가지고끊임없이 아이들을 일상에서 독려해 왔다는 것이다.
제일 먼저 마음에 새긴 내용은 기본을 지키게 하고 아이들과 늘 대화하고 모범을 보이는 것, 그리고 각자의 개성을 존중하라는 것이고 가장 공감이 가는 부분은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이었다. 우리가 암기하고 계속 반복, 연습하는 것이 창의성을 죽이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실은 학창시절 더 열심히 그렇게 하지 않았던 것을 많이 후회해 보았다. 외국인과 이야기할때 그 언어가 딸려서라기보다는 그네들보다도 전반적인 지리나 사회적인 지식이 부족해서 말을 잇지 못할 때가 많았기 때문이다.
읽으면서 몇 페이지에 표시를 해 놓았는데, 아이를 키우면서 두고두고 되새길 수 있으리라 믿는다. 그런데, 나는 아이를 키우면서 사회적 성공에 연연해 하지 않을 수 있을까 장담할 수는 없겠다. 다른 이들에게 '우리 아이는 룸펜이지만,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행복한 생활을 한답니다.' 이렇게 말할 자신은 없기 때문이다.
구한말에 태어나신 여자분이 이 정도로 글로벌한 마인드를 가지고 계신다니 다시 한번 존경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