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집중의 힘 - 잠재력을 집중력으로 바꾸는 뇌 과학
아오토 미즈토 지음, 김나은 옮김 / 북스힐 / 2023년 4월
평점 :

잠재력을 집중력으로 바꾸는 뇌과학 <집중의 힘>을 읽어보았습니다.
저자 아오토 미즈토는 학창시절 야구선수로 활동하다가 부상으로 인해 꿈을 접게 되었습니다.
목표도 없이 지내다가 어느 날 뇌 과학에 흥미를 느껴
의과대학 입학을 목표로 몇 년을 공부했지만 낙방하였고
이후 UCLA에 입학해 조기 졸업까지 하였습니다.
롤러코스터 같은 저자의 스토리가 눈에 띄는 책이었습니다.
자신이 원래 공부를 잘했다거나 똑똑해서 가능했던 일이 아니라
집중력을 잘 활용한 덕분이라고 하는데요.
이 책은 먼저 집중력의 매커니즘을 밝히고 집중력의 토대인 심리적 안정을 얻는 법을 배웁니다. 그리고 4가지 집중력에 대해 알아본 뒤 집중력의 질을 높이는 에너지 시스템을 이해하는 4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리 뇌 속에는 긍정적인 부분에 집중하는 나와 부정적인 부분에 집중하는 내가 있습니다.
잘한 일에 주목해 긍정적인 기억을 늘리면 무의식적인 주의력도 삶에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부정성 편향을 줄이고 긍정적인 데에 귀기울이기 위해서 긍정적인 감정을 느꼈던 순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그리고 이를 기록함으로써 행복을 찾는 쪽으로 뇌를 발달시킬 수 있는데, 더 나아가 기분 좋은 감정을 더 자주 느낄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봄으로써 자신의 성장을 도울 수 있다고 합니다. 긍정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일정을 하루 일정 속에 끼워넣으면 효과가 커진다고 해요.
뇌에는 수백억 개의 신경 세포의 축삭 돌기가 길고 가느다란 가지를 뻗어 다른 신경 세포와 연결되어 있는데요. 세포와 회로의 복잡한 네트워크 속을 전기 신호와 화학 물질이 드나들면서 우리의 사고, 아이디어, 가치관, 흥미, 관심사를 형성합니다. 뇌는 고도의 기능을 수행하는 만큼 체중의 2%에 불과하지만 우리가 섭취하는 에너지의 25%를 소비합니다. 살아남기 위해서는 낭비를 줄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신경 세포와 회로는 잘라내게 됩니다. 'Use it or Lose it'원칙이라고 부르는데요. 반대로 후천적인 경험에 따라 신경 세포를 연결하는 메커니즘을 갖추고 있어요. 특정 영역을 사용할수록 그 영역의 신경 세포와 회로는 증가하고 이를 신경 가소성Neural Plasticity라고 합니다. 그러니 우리가 의식적으로 계속 긍정적인 것에 주의를 기울여 행복한 편도체와 성장 마인드셋을 만들면서 계속 뇌를 사용하는 게 중요합니다다.
심리적 안정을 위해서 호흡법을 제안합니다.
편한 자세에서 눈을 감고 숨을 짧게 들이쉬고 길게 내쉬며, 이 호흡에 집중하는데요. 명상을 하는 거라고 보면 되겠죠.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장소, 시간, 사람, 행동을 적어 일상 생활 속에 넣으면 심리적 안정을 유지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데요. 다른 일정을 먼저 넣고 그 다음 넣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 안정을 주는 항목을 일정에 먼저 넣고 그 다음 업무, 가사, 육아 등을 분배해 넣으라고 합니다.
우리는 흔히 집중이라고 하면 책을 집중해 읽으면서 새로운 지식을 배우는 그런 집중력을 생각합니다만 이외에도 다른 집중력이 있다고 합니다.
집중력은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밖으로, 좁게' 새로운 지식에 주의 집중하며 공부나 업무에 몰입한 상태.
'안으로, 좁게' 1가지 과제를 계속 생각하는 과제 해결형 집중력, 새롭게 습득한 정보를 강한 기억으로 남김(학습)
'밖으로, 넓게' 전체를 보고 직관적으로 행동함. 기억과 경험을 바탕으로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듯 거시적으로 상황을 파악하고 직관적으로 빠르게 판단을 내림. 다수의 복잡한 정보를 인지하고 직관적으로 통합적인 의사 결정을 내리는 상태.
'안으로, 넓게' 의식에서 벗어나 뇌가 제한 없이 자유롭게 정보를 처리함. 마치 멍하게 있는 듯, 무의식에 가까우며 자유롭게 생각을 떠올리는 상태, 상상하거나 망상 또는 창조하는 상태.
4가지 유형의 집중력을 적재적소에 잘 사용하면 좋겠죠.
각자가 구분된 것이 아니라 서로 연관되기 때문에 차곡차곡 쌓아나가듯이 반복하고 고루 발달시켜야겠더군요.
집중력과 관련 깊은 3가지 신경 전달 물질인 도파민(설레고 호기심이 생기고 즐거울 때), 베타 엔도르핀(도파민 분비를 도울 때), 노르아드레날린(스트레스 받을 때)에 대해서도 설명해주고 있어요. 도파민만 좋은 것이 아니라 이런 물질들이 균형있게 분비될 때 집중력이 더 좋아지겠네요.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