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별자리는 무엇인가요 - a love letter to my city, my soul, my base
유현준 지음 / 와이즈베리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많은 사람들이 모여 공간이 만들어지고 도시가 된다. 그 도시 속에는 시간이 지나면서 단순한 공간을 넘어 많은 것을 품고 있다. 과거, 현재를 넘어 앞으로 또 다른 무언가를 담을 공간. 때로는 복잡하고 삭막함을 대변하는 것이 도시라고는 하지만 한 번 나를 품고 있는 도시를 천천히 바라보는 시간을 갖는 것도 좋을 듯 하다. 


p.16

버려진 장난감은 그대로는 별 가치가 없지만, 서로 다른 것들을 연결해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면 세상에 하나뿐인 장난감이 만들어진다. 이것이 나만의 가치, 나만의 세상을 만들어가는 첫 걸음이었다. (중략) 우리가 프랑스어를 배우면서 샹송이 들리듯이, 공간에 나만의 가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배운다면 이 도시는 새롭게 재창조 될 수 있다. 해외로만 여행을 갈 것이 아니다. 우리의 일상이 일어나는 여기서도 당신만의 새로운 공간을 ‘발명’하고 의미를 부여하고 추억을 만들 수 있다.


유현준 교수가 ≪당신의 별자리는 무엇인가요≫라는 제목의 도시 에세이를 내놓았다. 지대넓얕에서 나온 건축과 주식의 이야기는 신선했었고 한 강연장에서 공간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내용은 의미 있게 다가왔다. 그런 그를 성장시켰고 주변에 있는 공간들에 대한 생각을 가까이에서 들을 수 있는 것이 이 책이다. 과연 지금 내 주변에 있는 공간은 어떤 의미인가?


유년 시절 친구들과 놀았던 골목길, 동생과 놀았던 마당, 그렇게 어릴 때 공간들은 우리를 성장시켰고 내가 지냈던 공간은 하나 둘 씩 늘어났다. 여행을 다니면서 좋았었고, 연인과 같이 가서 행복했고 혼자서 고민하기에 좋았던 공간까지 유현준 교수가 인상 깊었던 곳과 그의 생각이 담겨 있고 그의 발자취와 함께하면서 한 번씩 가봤던 공간을 추억해본다.


유년시절부터 최근까지 ‘공간’이라는 존재에 주목하면서 생각의 속도를 천천히 내본다. 하나 둘 추억할 수 있는 공간이 늘어났다는 건 그만큼 내가 나이가 들었단 증거가 되는구나라는 생각도 들면서 공간 속에 온전히 남아 있는 듯한 느낌에 그냥 흘러갔던 것만 갔던 시간들이 꼭 그렇지 많은 아니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p.399

지금 당장 신호등이 빨간불이어도 1분만 기다리면 파란불이 된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때로 기다림이면 충분한 경우도 있다.


가봤던 공간은 추억을, 아직 가보지 못한 공간은 가보고 싶어진다. 여행을 떠나 언급한 곳을 제외하고는 우리나라에 있는 장소가 많았다. 유명 장소뿐만 아니라 바로 우리 집 주변, 우리 집에 있는 곳도 공간도 언급하면서 공간 자체를 면밀하게 살펴보는 저자의 시점도 굉장히 의미 있게 다가온다.


‘공간은 다시 빛이 들어오고, 빛이 나감에 따라 전혀 새로운 공간이 된다.’ 그냥 흘러가듯 지나갔던 시간만큼이나 공간에서 잠깐 휴식을 취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당장 살아가야 하는 삶이지만 그래도 한 번은 주변을 둘러보는 것도, 살아가는 나 자신 자체를 바라보는 것도 필요할 터이니. 다가오는 봄에 맞춰 눈에 보이지 않는 시간보다 시간이 담긴 공간을 바라보면서 나의 별자리를 찾아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