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의 뇌 - 인간의 뇌는 어떻게 성장하는가
프랜시스 젠슨.에이미 엘리스 넛 지음, 김성훈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생 사용할 뇌의 기틀을 잡아줄 잠깐 동안의 기회를 놓칠 것인가


10대는 온통 늘 이상한 생각에 빠져 있고 공부하기는 싫어하고 유혹에는 쉽게 빠지는 흔히, 좌충우돌 시기라고 말한다. 철없는 세대로 비춰지고 사고만치는 그들을 이해할 수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불과 우리도 몇 년 전, 몇 십 년 전에 그 세대를 겪었지만 왜 10대들을 이해할 수 없는 것일까? 이를 뇌과학적으로 풀어낸 ≪10대의 뇌≫라는 재미난 책이 있다.


p.9

오랫동안 인간의 뇌 발달은 주로 1~3세, 혹은 3~7세에 거의 완성된다고 간주돼왔기 때문에 ‘10대의 뇌’는 학계에서도 깊이 연구되지 않았던 주제다. 하지만 지난 20년간 괄목할 만한 연구 성과를 통해 10대의 뇌에서 놀라운 변화가 일어난다는 사실이 최근에야 밝혀졌다.


공부를 하는 시기가 따로 있다고 말하면서 10대는 중요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정작 10대의 뇌는 정확하게 연구·분석되지 않았다. 그저 철없는 행동이라며 그들을 이해하기보다 크면 안 그럴거야는 식으로 넘어가곤 했다. 그렇지만 이는 급속도로 발달되어서 생긴 일시적인 혼란이 만든 행동일 수 있다.


p.26

아이가 반항하고 더욱 심각한 문제로 빠져들게 하기보다는 이렇게 해로울 것 없는 일들로 실험해볼 수 있게 놔두는 것이 좋다. 작은 전투에만 급급하다가 전쟁 전체에서 지고 마는 우를 범하지 않아야 한다. 아이들은 본능적으로 실험이 필요하고, 우리의 최종 목표는 아이들이 그런 실험을 장기적인 부작용 없이 무사히 치를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최근에 ‘스카이캐슬’이라는 드라마가 굉장히 유행하고 있다. 많은 유행어를 파생시키며 인기를 누리고 있는데 뛰어난 작품 구성도 있겠지만 우리나라의 상위 1% 교육을 다루고 있다는 점도 한 몫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아이들이 공부로 무조건적인 성공을 바라는 부모님 생각에서 아이들은 공부를 잘하는 기계로 만들어지고 있는 것은 아닐까? 그래서 더욱 그들을 어른들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가두려 하고 더 이상의 일탈을 허락하지 않는다. 책은 그런 교육 방법보다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 있음을 말해준다. 아이들에게 필요한 건 강제적인 수단이 아닌 10대들이 공부하기 좋을 게 만들어주는 것, 열까지 세는 준비하는 습관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p.113 

10대들은 다중과제에 능숙한 듯 보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못하다는 점을 명심하라. 그냥 잠시 하던 것을 멈추고, 해야 할 일이 무엇이고 언제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만 생각하도록 격려해주어도 다중과제에 관여하는 뇌 영역으로 혈류를 증가시키고, 그 영역을 서서히 강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중략) 지도를 말로만 끝내지 말고 글로도 적어주자. 그리고 한 번에 4~5개씩 지도하려고 하지 말고, 한 번에 1~2개 정도만 지도하자. (중략) 이런 것을 정기적으로 하면 자녀들이 스스로의 뇌를 훈련시킬 수 있다.


책은 뇌의 변화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10대를 이해하려고 하는 점이 재밌다. 시놉스 등 고등학교 과학시간에 나왔던 용어들이 등장한다. 그냥 머리로 이해가 가지 않았던 10대들의 감정적인 행동들은 과학적으로 접근하면서 조금씩 이해가 가기 시작한다.


수면과 범죄사이의 상관관계부터 시작하여 10대들은 왜 술을 마시면 해로운지, 왜 감정적으로 취약하여 짜증을 잘 내는지, 왜 그들에게 수면은 중요한지 등 우리가 쉽게 궁금증을 가졌던 부분들도 이 책에서 그 답을 얻어낼 수 있다.


p.321

부디 이 책이 당신의 자녀가 다른 행성에서 온 외계인이 아니며, 다만 아직 완벽한 조화를 이루지 못한 발달의 결정적 단계에 와 있음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 이 점을 당신이 분명하게 이해하고 자녀에게 더욱 잘 설명할수록 자녀의 10대 시절이 좀 더 순탄하게 넘어갈 수 있을 것이다.


정말 별에서 온 아이가 아닌 사랑스러운 10대의 마음을 헤아려 보는건 어떨까? 가까이에 있는 10대가 아니라 바로 어릴 때 철 없다고 느꼈던 내 행동도 한 번은 되돌아 보는 기회도 될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