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드키
D. M. 풀리 지음, 하현길 옮김 / 노블마인 / 2018년 12월
평점 :
절판




그들이 죽음 직전까지 침묵했던 ‘데드키’의 진실은 무엇일까?


1978년 겨울, 오하이오주에는 폐쇄된 은행, 클리블랜드 퍼스트뱅크가 있다. 은행 안에는 많은 부유층이 이용하고 많은 귀중품을 수탁한 대여금고가 있었지만 갑작스럽게 파산한다. 1,300개의 금고는 그렇게 잠들었고 20년이 지나 건물이 매각되면서 그동안 숨겨져 있던 비밀 이야기가 금고와 함께 열린다.


p.14

그녀의 두 눈은 엄청난 크기의 다이아몬드들을 보고 왕방울 만해졌다. 이건 이제 어느 누구의 것도 아니야. 그녀는 그가 여러 차례 했던 말을 조용히 뇌까렸다. 아무도 이걸 애타게 찾지 않는단 말이지. 이게 여기에 있다는 걸아는 사람조차 없어. 그녀는 다이아몬드를 만져보기 위해 무릎을 꿇으며 떨리는 손을 뻗었다.


은행을 터는 장면은 영화 속에서도 많이 나온 장면이다. 가까이 있으면서 자주 가는 어쩌면 우리에게 친숙한 은행이지만 그 안에 담긴 비밀스러운 곳을 담아내는 건 수수께끼 풀 듯 무척 흥미롭게 느껴진다. 이야기는 굉장히 흥미롭게 진행된다. 1978년에 있는 베아트리스와 1998년 아이리스가 시간 속을 교차한다. 


그러나 흥미롭게 전개될 것 같은 이야기는 탐욕과 맞물려 거대한 음모에 빠지게 된다. 20년이라는 시간을 두고 각각 시간과 전공을 가지고 있는 그녀들이다. 특히 아이리스의 전공은 구조공학자가 되어 숨겨진 공간을 찾아나가는 것은 미로를 찾듯 흥미로움을 유발한다.


p.457~458

“저, 마스터키 같은 것이 있지 않나요? 은행들이 마스터키를 보관한다는 말을 들었거든요.”

“어디서 그런 말을 들었어요?” 은행원은 한 손으로 책상을 내리쳤다. “이제 ‘데드키’는 없어요. 그건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의 정책에 위반되니까요.”

“‘데드키’라고요?” “미안하지만, 이건 이 자리에 어울리는 이야기가 아닌 것 같군요.” 은행원이 고개를 가로저었다. “왜 그것들을 ‘데드키’라고 부르죠?”

“금고가 여러 해 동안 이용되지 않으면, 우린 그걸 ‘죽었다’고 해요. 우린 데드키를 이용해 죽어버린 금고를 열고 자물쇠를 바꾸곤 했어요. 당연히 짐작하겠지만, 드릴로 구멍을 뚫는 건 엄청난 낭비이니까요.” “대여금고가 자주 죽나요?” “깜짝 놀랄 정도로 자주요.” 


데드키의 존재는 이름처럼 유쾌하지 않다. 대여자가 대여금을 내지 못하는 상황이 되고 이용하지 못하게 되면 은행은 데드키를 이용해서 죽은 금고를 연다. 만능키라는 말이 있을텐데 왜 데드키라 칭하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은 이 곳. 비록 금고는 죽었지만 거기에 있는 재물을 둘러싼 욕심과 이와 관련된 비리와 같은 부정부패, 사람의 기본적인 욕망을 기반으로 한 감정묘사는 잘 그려져 있다.


574의 존재는 무엇일까? 그렇게 반전은 숨어있다. 두꺼운 책이지만 다른 책보다 집중도 있게 읽어가면서 어느 순간 빠져 있는 나를 볼 수 있다. 특유의 스릴러가 가지는 맛과 함께 무엇이든 열 수 있지만 그것이 모든 것의 만능은 될 수 없는 데드키의 존재, 그리고 이를 둘러싼 인간의 심리에 대해 생각할 수 있었던 재미있는 스릴러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