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체인지메이커입니까?
정경선.루트임팩트 엮음 / 김영사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은 나쁜 세상을 원하지 않는다.


세상을 바꾸고 싶다고 말할 때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어떤 물건을 만드는 방법이 있고 어떤 제도를 통해 바꾸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개인, 단체, 기업 형태를 갖고 사회를 바꾸려고 시도하는 체인지메이커들이 불리는 사람들이 있다. 세상에 놓여진 문제에 집중하고 바꾸기 위한 노력.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파하고 왜 그들이 체인지메이커라고 불리는지 ≪당신은 체인지메이커입니까?≫에서 들을 수 있다.


p.6

체인지메이커. 변화에 적응하고 따라가는 것도 쉽지 않은 세상에서 주도적으로 변화를 만들어가는 사람들. 현장에서 사회의 어려운 문제를 하나하나 해결하고 작은 변화를 모아 큰 변화를 만드는 사람들. 이 사람들이 주목을 받는 이유는 시대가 변했기 때문이다. 소수의 정치나 종교 지도자가 아니고서는 변화를 만들 방법이 없던 시대에서 누구나 변화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수익만 추구했던 기업의 가치가 다양해진 것은 오래되지 않았다. 문제는 그저 문제로만 두지 않고 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사람들, 체인지메이커가 많이 발생했다. 직접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체인지메이커 외에도 이들을 육성하고 도와주는 인큐베이터, 액설러레이터, 그리고 자금을 투자시켜주는 임팩트 투자가, 공간을 제공하는 코워킹스페이스 등 다양한 영역의 체인지메이커들이 긍정적인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다.


p.41

이제는 무언가가 되기 위한 왕도라는 게 없는 것 같아요. 저희끼리 그런 이야기를 한 적이 있어요. 매일 그 일을 하면 그걸 하는 사람이 되는 것이라고요. 본인이 영상을 찍어서 올리고 반응을 보면서 미디어 운영자도 되고요. 그러면 더 큰 기회가 올 수도 있어요. (중략) 정해진 길이 있다고 생각하지 말고, 매일 선택하며 살면 좋겠어요.


체인지메이커의 시작은 특별하지 않았다. 자기 앞에 놓인 문제에 대해 인식했고 해결하고자 하는 실행이었다. 어떤 사리, 사욕, 이익의 목적이 아니라 해결하고 싶어하는 의지가 실행으로 만들어졌다. 닷페이스 뿐만 아니라 세바시, 미래교실네트워크 등 그것의 전문가로 시작했다라기보다 실행하면서 전문가가 되었다.


p.213

소셜 섹터에서 일하는 모든 사람이 가장 유념해야 하는 것 중 하나는 우리가 다루는 일이 ‘사람’, 그중에서도 경제적·사회적으로 취약한 사람이라는 것이다. 그렇기에 아무리 본인은 좋은 뜻으로 최선을 다해 일하더라도, 하고 있는 일이 도우려는 사람들에게 유의미한가에 대해 끊임없는 분석과 고찰을 해야 한다.


다소 사회적 가치를 말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이지 않고 추상적이라는 부분에서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그래도 그런 가치를 이해하고 일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는 긍정적인 현상이다. 아직은 크지 않은 영역에서 영리와 비영리를 함께 다룰 줄 알고 실력 있는 존재의 필요성도 많이 어필이 된다.


p.276

저는 원래, 사업은 ‘행복’ 같은 개념과 상관없이 그저 일하고 벌어서 쓰는 수단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러니 사업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역설적이라 느꼈죠. 시장에서 기업의 목표는 경제적 이익이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어떻게 임팩트와 양립할 수 있는지 확신이 서지 않았죠.


소셜벤처를 이끌고 있는 대표, 중간 지원 기관에서 일하는 종사자 외에도 흥미로운 영역이 있다. 소셜 섹터 쪽으로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들과 구직을 희망하는 체인지 메이커들의 이야기다. 금전적인 부분, 안정적인 부분을 우선시 하는 보통 사람들 속에서 달리 생각하는 그들의 이야기는 무척 흥미롭게 느껴진다.


나 역시 그랬었고 실제로 체인지메이커의 길을 가기 위한 선택을 했기 때문에 더욱 공감했다. 소수라면 소수의 이야기를 책으로 통해 만날 수 있어서 반가웠다. 아직 법인조차 설립되지 않은 초기 형태지만 가치를 위한 내 인생의 선택의 초심을 일깨워주는 책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