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임수의 심리학 -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김영헌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의사, 변호사, 기자는 어쩌다 사기꾼에게 속아 넘어갔을까?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그렇지만 눈에 보이는 것을 쉽게 믿고, 듣는 것을 신뢰한다. 이런 심리를 이용하여 속임수로 악용한다. 더욱 교묘해지는 방법으로 속이는 기술은 발전하고 똑똑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사기꾼에 넘어가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속임수의 심리학≫은 현직 검찰 수사관이 기본 된 사람의 심리와 이를 간파한 사기꾼들의 속임수, 그런 속임수를 간파하는 노하우가 담겨있다.


p.30

한국 사회에서 ‘아는 사람’의 위력은 대단하다. 아는 사람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과 의존은 오랜 기간 농업, 특히 쌀농사를 주산업으로 했던 나라에서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중략) 한국인들은 ‘우리 회사’, ‘우리 학교’, ‘우리 가족’ 등 ‘우리’라는 용어를 자주 사용한다.


속임수 중에서 우리 마음을 흔들 게 하는 것은 욕망, 신뢰, 불안이다. 특히 한국 사회의 문화적 특성으로 우리나라는 ‘아는 사람’의 역할이 크다. 공동체 사회를 강조하면서 혈연, 지연 등 연으로 ‘우리’라는 영역에서 묶는 것을 좋아한다. 그런 지인을 활용한 방법에서 똑똑하고 안하고는 중요하지 않다. 사기꾼들은 이를 더욱 집중적으로 노릴 것이고 똑똑한 사람이 오히려 속임수에 잘 넘어갈 수도 있다.


p.60

공짜 속임수에 많은 사람이 걸려드는 이유는 뭘까? 그것은 손실을 입고 싶어 하지 않는 인간의 성향 때문이다. 이것을 ‘손실 기피 현상’이라고 한다.


공짜를 좋아하면 대머리가 된다는 말이 있지만 우리나라 대부분 사람들은 공짜를 좋아한다. 적어도 1+1을 준다고 하면 필요한 걸 떠나서 왠지 이득 보는 기분에 선뜻 구매한다. 공짜로 하나 더 물건이 생기기보다 왠지 이걸 안사면 손해 볼 것 같은 마음이 더 큰 탓일 수도 있다.


p.67

이런 상황에서 ‘거의 딸 수 있었을 텐데’라는 생각은 완전한 착각이다. 설령 그렇게 생각할 만한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거의 딸 수 있었던 것’과 ‘따지 못한 것’은 결과적으로 같다. (중략) 속임수는 객관적인 사실을 보지 못하게 하며, 주관적인 생각으로 눈을 돌리게 만든다.


재미로 시작한 게임은 어느덧 거덜 난다. 손실을 기피한 것뿐만 아니라 왠지 조금만 하면 될 것이라는 미련은 객관적인 시선을 떨어트리고 손해 보는 결과로 이어진다.


‘한정판매’와 ‘처음’, ‘마지막’, ‘너한테만 알려주는 건데’와 같이 마음을 초조하게 만드는 방법과 폰지 사기, 세뇌 하는 방법을 나타낸 세이버 5단계까지 정상적인 방법인 것처럼 무장한 속임수는 곳곳에 숨겨져 있다.


속임수를 키워드로 속임수에 바탕이 될 수 있는 인간의 심리를 바라보고 속임수를 당하지 않는 방법까지 딱딱하지만 범죄 심리의 재미를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책이다. 본성에 대해 깨닫고 다른 사람한테 속지 않는 똑똑함을 가지려면 한 번 읽어보면 좋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