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능력을 보여줄 것인가 - 당신의 가치를 빛나게 할 능력 어필의 기술
잭 내셔 지음, 안인희 옮김 / 갤리온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의 유능함을 마음껏 표현해라!


조슈아 벨이라는 유명한 바이올리스트가 있다. 그는 누구인지 알려주지 않고 지하철역에서 연주를 했다. 1000명 중 멈춰서 귀 기울여 연주를 들은 사람은 고작 7명. 연주비를 넣은 사람은 고작 27명이었다. 연주의 총 수입은 32달러 17센트이었는데 만약 그가 유명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리고 공연했으면 그와 같은 결과는 절대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 ≪어떻게 능력을 보여줄 것인가≫는 언젠가 열심히 노력하면 인정받을 수 있다는 말에 반기를 든다. 능력 이상으로 중요한 것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능력을 보여주기 위해 능력을 키워왔다. 어느 정도 능력이 출중했을 수도 있음에도 능력이라는 것이 100점을 줄 수 없다는 이유로 계속 부족한 존재로만 스스로를 평가했을지도 모른다. 가지고 있는 능력이 더욱 더 향상되면 좋다. 하지만 가지고 있는 능력을 어떻게 보여줬었는지도 고민해봐야 한다. 누가 먼저 내 능력을 먼저 알아봐주지 않기 때문이다. 


p.23

요즘 시대를 살아가는 당신의 이야기는 안타깝다. 당신은 자신의 능력을 키우는 데 대부분의 시간을 바쳤다. 학창시절에는 원하는 대학에 합격하기 위해, 대학에 입학해서는 취업을 위해 학교 강의는 물론, 학원 수업과 스터디, 대외활동까지 마다하지 않았다. 회사에 들어간 이후에도 전문 분야는 물론이고 어학, 자격증 시험공부 등에 아낌없이 투자했다.

  

≪어떻게 능력을 보여줄 것인가≫의 저자 잭 내셔는 자신의 능력을 신뢰할 수 있을까란 질문을 던졌다. 그리고 2000년대 초 옥스퍼드대학교에서 ‘실제 능력과 보이는 능력’이라는 주제로 석사 논문을 쓴 이후, 꾸준히 이 주제를 연구해왔고 연구해 온 결과물을 책에 담았다.

  

흔히 전문가와 지도자를 비슷하게 보는 경향이 많다. 여기서 전문가는 아주 적은 것에 대해 매우 많이 아는 사람이고, 지도자란 아주 많은 것에 대해 조금씩만 아는 사람을 말한다. 이들 모두 인정을 받을 수 있는 사람들이지만 진정 성공하려면 성공할 수 있도록 보이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말한다.

  

그 중에서도 많은 심리학적 효과 중에서 자기실현적 예언과 프레이밍이 많이 언급된다. 보이려고 하는 능력을 보이려고 하고 그 위치에 올라가게끔 행동을 하게 된다면 다른 이에게 인정받는 사람이 되어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자기실현적 예언과 프레이밍으로 스스로 진짜 능력을 가진 이가 되는 것이다. 그렇지만 자만심은 금한다. 겸손함도 함께 가져가되 대신 핵심에서는 절대 겸손하지 않고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p.100

본격적으로 일을 시작하기 전에 이런 이유들을 미리 제시하라. 좋은 성과를 냈을 때도 당신이 겪었던 모든 장애물을 언급하는 편이 유리하다. “운이 좋았던 거죠, 뭐”라고 반응하는 것은 당신의 ‘보이는 능력’을 불필요하게 줄이는 일이 된다. 그에 반해, 성과를 내기까지 겪어야 했던 어려움을 강조하면, 다신이 거둔 성과는 외적인 상황이 아닌 당신의 특출한 능력 덕으로 여겨진다. 일을 시작하기도 전에 이런저런 이유를 나열하면 확신이 없어 보이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이것 때문에 어려울 것 같습니다”가 아니라 “이런 어려움이 있지만, 한번 해보겠습니다."로 끝을 맺으면 된다. 

  

남들에게 보이는 것이 많이 강조 되는 만큼 방법론이 많이 언급된다. 초두효과처럼 심리적 요소에서 첫인상에서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처음 좋은 것을 보여주고 안 좋은 것은 이후, 마지막에는 두 번째로 장점을 말하면서 좋은 마무리로 짓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무작정 능력을 기르기보다 가지고 있는 능력을 어떻게 보여줄 것인지도 나를 어필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로 인해 자신의 능력과 그것을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지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