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의 신 - 1인 크리에이터들의 롤모델 대도서관이 들려주는 억대 연봉 유튜버 이야기
나동현(대도서관)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튜브로 1년에 17억 번다” 유튜브 구독자수 170만명채널 누적 조회수 10억뷰를 달성한 대도서관어느 연예인 부럽지 않을 정도의 수입을 얻고 있는 그는 인기 또한 이에 못지 않다. 1인 크리에이터의 선구자로 일컬어질 수 있는 그가 유명한 유튜버가 될 수 있었던 스토리를 유튜브의 신에서 밝힌다.

 

p.30

지금은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도 자기 글을 독자에게 선보일 수 있는 시대다디지털 플랫폼이 작가와 독자를 직접 연결하기 때문이다실력만 있으면 누구라도 작가가 될 수 있고, 1인 브랜드로서 자기 가치를 증명할 수 있다.

 

SNS 만큼 유튜브는 강력한 매체가 되었다기존 제작된 업로드된 영상을 보는 플랫폼이 아니라 사람들이 직접 영상을 기획하고 편집한 영상을 업로드하기 시작했고 다양한 아이디어와 재미가 있는 세상이 열렸다모바일 영상으로 보는 빈도는 더욱 높아지면서 유튜브를 이용하는 시간 또한 비례하여 증가했다자연스럽게 콘텐츠의 생산과 소비가 늘어났고 자신의 브랜드를 가진 매체가 등장했다.

 

시대가 변하면서 명함은 평생보증서가 아니라 임시 번호판과 같은 역할이 되었다평생직장이 사라지고 변화하면서 1인 브랜드, 1인 크리에이터들이 등장했고 너도나도 유튜브로 뛰어들면서 시장은 레드오션이 되었다.

 

대도서관은 레드오션이더라도 자신의 콘텐츠를 만들고 도전하길 권유한다특히 투자는 분산하듯 기존의 직장을 그만두지 않길 권하며 유튜브로 나서는 초보자들에게 어떻게 유튜버가 될 수 있는 방법론을 전달한다.

 

그는 어릴때부터 소위 쓸데 없는 짓을 많이 했다백수 생활 역시 그렇게 지냈지만 그것이 전화위복이 되었다쓸데 없지만 본인이 좋아하는 것을 콘텐츠화했고 공감하는 이들에게 어필할 수 있었다세상의 공감과 관심이 점차 대중적이 아닌 세세하게 개인별 공감으로 나뉘어가는만큼 이러한 사회 현상을 잘 보여주는 듯 하다.

 

p.152

지금 당장 시청자 반응이 없다고 해서 실망하거나 좌절할 필요가 없다눈 딱 감고 1년간 꾸준히 만들어보자그래도 반응이 없으면? 1년 더 만들어보자그때쯤이면 슬슬 반응이 올 것이다일단 이름이 알려지고 충성도 높은 구독자가 생기면 초창기에 올렸던 인기 없는 콘텐츠도 결국 다 소비된다누구도 봐주지 않는의미 없는 콘텐츠는 없다는 이야기다. 2년 동안 꾸준히 만든 콘텐츠는 절대로 크리에이터를 배신하지 않는다.

 

이미 콘텐츠가 많은 유튜브에서 살아남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인지도가 없으니 실패할 수 밖에 없는 것 아닐까자신이 좋아하는 영역콘텐츠를 꾸준히 올린다면 1년이고, 2년이고 결국 알아주리라 본다대도서관 뿐만 아니라 많은 파워블로거나 SNS에 영향력 있는 사람들 역시 그러했다재능보다는 우직한 성실함이 힘이 되리란 그의 의견에 동의한다.

 

핵심 콘텐츠를 만드는 방법 등 유튜브를 만들기 위한 여러 가지 팁과 함께 잠깐이나마 앞으로 보게 될 미디어 생태계를 관찰 할 수 있었다더 이상 유튜브는 마이너한 문화가 대세를 가로지는 역할을 하게 될 것 같다.

 

수익이 먼저가 아닌 자신의 브랜드가 결국 중요하게 된다선구자 역할을 했지만 그가 지키고자 했던 철학과 방향꾸준함책임감이 왜 그가 성공의 길로 갈 수 밖에 없었는지도 알 수 있었다꼭 유튜브가 아니어도 좋다왜 자신의 브랜드가 필요한지앞으로 나는 어떤 방향에서 살아야 할지 고민한다면 새로운 방향을 제안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