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산야초 식물도감 - 한권으로 보는 우리풀
문순열 지음 / 글로북스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 별로 볼 내용이 없어요.
산야초라고 해놓고 산야초보다 화초가 더 많구요.
산야초에 현혹되지 마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사의 숲 시리즈 세트 - 전10권 108 사찰 생태기행
김재일 지음 / 지성사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1권부터 10권까지 모두 생명에 대한 소중함과 자연과 하나됨을 느낄 수 있는 좋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사의 숲, 계곡에 발 담그다 108 사찰 생태기행 8
김재일 지음 / 지성사 / 2010년 9월
평점 :
절판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는 숲의 생명들에 대한 생명존중의 사상이 담긴 생명철학 지침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사의 숲, 계곡에 발 담그다 108 사찰 생태기행 8
김재일 지음 / 지성사 / 2010년 9월
평점 :
절판


10
사람 중심의 환경이야기가 아닌, 숲 중심의 생명이야기. 마음으로 찾아가는 산사의 숲 시리즈는 숲의 생명들과 함께 살아가는 생명존중의 사상이 녹아있는 생명철학 지침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 식물명의 유래
이우철 지음 / 일조각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식물들은 오랜 적응기간을 거쳐 그들 각자의 터전을 마련하였습니다.

이것은 마치 오래전 우리의 조상님들께서

삶을 살아가는 터전을 마련하는 것과 같은 것이었죠.

요즘 한창 꽃을 피우는 조팝나무....

이 조팝나무는 " 조ㅎ(菜)+밥(飯)+나모(木)> => 조밥나모 => 조팝나무 "로 변화과정을 거쳐 지금의 조팝나무가 되었습니다.

즉 잎이 돋으면서 동시에 하얀 작은 꽃들이 다닥다닥 붙어있어

마치 나물밥처럼 보였을 것이고,

나물밥이 붙어있는 나무이니 조밥나물로 불렀을 것입니다.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엿보이는 이름이죠.

"한국 식물명의 유래" 여기에는

이러한 식물명의 유래를 상세히 설명하고있습니다.

요즘 한창 뜨고 있는 현장 생태학습 선생님들의 좋은 지침서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제 봄입니다.

 "한국식물명의 유래"와 함께 행복하고 고마운 봄을 만끽하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