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의 세 가지 기능

첫째, 탈자연화

둘째, 변혁적 균열

셋째, 대안적 세계의 제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끔 페미니즘을 몰랐다면 차라리 편하게 살았을 것이라고 ‘고백’하는 사람들을 만난다. 그런데 그 ‘모름의 삶’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눈과 귀를 막고 자신이 몸담고 살아가는 이 세계에 전혀 개입하지 않고, 외부세계에서 주입되는 것들만 수동적으로 받아들인다면 그것은 결국 ‘비판적 사유의 부재’로 ‘악’evil에 가담하게 되는 것이다. 어떠한 삶을 살 것인가는 오로지 자기 자신이 선택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제 ‘남성은 페미니스트가 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그렇다-아니다’에 대한 소모적 논쟁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 ‘페미니스트’라는 표지는 단순한 ‘자기 정체성’만이 아니라 ‘과제’이며 ‘책임성’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여타의 페미니즘과 마찬가지로, ‘남성의 페미니즘’ 역시 치열한 학습과 현장 개입에의 의지가 필요하다. ‘남자와 여자는 평등하다’는 구호만 외치는 낭만화된 페미니즘은 공허할 뿐이다. 이 현실세계 속에서 매우 복합적이고 다양한 얼굴로 존재하는 차별과 배제에 대한 다층적 학습을 통해서 우리는 ‘진정한 페미니스트가 되어가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제 ‘남성은 페미니스트가 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그렇다-아니다’에 대한 소모적 논쟁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 ‘페미니스트’라는 표지는 단순한 ‘자기 정체성’만이 아니라 ‘과제’이며 ‘책임성’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여타의 페미니즘과 마찬가지로, ‘남성의 페미니즘’ 역시 치열한 학습과 현장 개입에의 의지가 필요하다. ‘남자와 여자는 평등하다’는 구호만 외치는 낭만화된 페미니즘은 공허할 뿐이다. 이 현실세계 속에서 매우 복합적이고 다양한 얼굴로 존재하는 차별과 배제에 대한 다층적 학습을 통해서 우리는 ‘진정한 페미니스트가 되어가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위들러에게 페미니스트는, ‘여성을 온전한 인간으로 보는 사람’이다. 따라서 그는 예수가 살았던 그 당시 하부인간으로 취급받던 여성을 온전한 인간으로 본 예수의 시선과 행동에 초점을 둔다. 여성을 ‘온전한 인간’으로 보고 평등한 존재로 여기는 사람이 바로 페미니스트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