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 센스 - 경제학자는 돈 쓰기 전에 무엇을 먼저 생각하는가
박정호 지음 / 청림출판 / 2020년 4월
평점 :
품절


혹시 월급날 월급이 통장을

스쳐 지나가기만 하는 분들 계신가요?

비단 나의 소비욕구가 원인이 아니었음을 알려주는 책,

<이코노믹센스>를 소개합니다.






지갑을 열기 전에 내가 꼭 필요한 물건을 사고 있는 것인지 혹은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지갑을 '털리고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코노믹센스'가 필요합니다.

서문 중에서


책을 읽기 전까지는 전혀 생각해 본 적이 없었는데,

제 소비패턴을 한 단어로 정의할 수 있는 방법을

이 책을 통해 찾았습니다.

바로, 심적회계(mental accounting)입니다.

금전적으로는 분명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상황에 따라 돈을 받아들이고

돈을 해석하는 방식이 전혀 달라지고,

이로 인해 우리의 지출도 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 마음 속에는 또 다른 회계 방식

즉, 돈을 다루고 있는 방식이 따로 있다는

이야기라고 하는데요.

가령,

저는 문구류를 살 때는

저도 모르게 지갑을 잘 열게 됩니다.

반면에 먹을 것을 살 때는

이상하게 비슷한 퀄리티지만

조금 더 저렴한 것을 소비 패턴을 보입니다.

아마 제 기준에선 먹을 것을 구매할 때보다

문구류를 사서 이용할 때

그 만족도가 더 크기 때문에

제 심적 회계가 그렇게 작동하는 것이겠지요.

TV홈쇼핑을 보면 안마의자를 광고할 때,

일단 사용해보고 구매를 결정하라고 합니다.

저는 이걸 볼 때마다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배송비까지 따지면 저게 남는 게 있는 장사인가?

그냥 며칠 쓰다가 바로 반품할 고객이 더 많아 보이는데.

하지만 저는 마케팅의 '마'자도 모르는 사람이었습니다.

사람들은 자신이 소유하게 된 것에 집착하고 이를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이를 부존자원 효과(endowment effect) 라고 합니다.

이것 때문에 소유한 물건을 되돌려달라고 요청받게 되면 처음부터 아무것도 받지 않았을 때보다 더 큰 반감을 갖는다고 합니다.

마트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시식 코너도

이와 관련하여 생각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저만 생각해보아도 한 번 맛 본 식품은

저도 모르게 집어든 경우도 많았습니다.

하지만 마트에서 장을 보다 먹었을 때 그 맛과는

다른 적도 종종 있었구요.

이렇게 이 책을 읽다 보면

내가 왜 그 때 지갑을 열 수밖에 없었는 지,

왜 지갑 열기를 선택했는 지,

너무나 명료하게 해석되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다른 방향에서 해석하자면

내가 왜 지갑을 열게 되었는 지 알았기 때문에

다음 번에 똑같은 상황에 처했을 때,

나는 좀 더 신중하게 생각할 수 있다고

볼 수도 있겠지요.

가장 충격적인 마케팅 요소는 바로 이것이었습니다.

청각과 후각을 사용한 지갑열기 전략입니다.

청각과 후각은 시각과 미각과는 달리

통제가 불가능한 것을 이용한 것인데요.

어떤 매장에서 맡았던 좋은 향기,

어떤 옷 가게에서 들었던 빠른 템포의 음악.

이런 모든 것들이 제 소비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뿐만 아니라 이 책에서는

생각지도 못한 소비를 자극하는 요소들을

하나하나씩 사례를 들어서 소개하고 있습니다.

책의 마지막 장을 넘길 땐

여러분들도 모르게 마음 속 <이코노믹센스>가

생기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소비자로서의 이코노믹센스가 중요한 만큼,

판매자로서의 이코노믹센스는 더 중요할텐데요.

소비자들의 소비를 자극하는 조건을 안다면

좀 더 작은 노력으로 소비를 이끌어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서

세계적으로 경제가 위축되고 있는 시점인만큼

여러분들의 지갑이 가벼웠다고 느끼시는 분들도

많을 것 같은 요즘입니다.

이럴 때 조그만 씀씀이들도

이코노믹 센스를 발휘하여 소비를 한다면

조금은 더 여유로운 경제생활을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저도 항상 쿠팡 프레쉬로 다음날 먹을 것을

침대에 누워서 구매하고,

티몬으로 생필품을 구매하는 입장으로서

조금은 더 이 판매자들의 입장에 서서

다소 불필요한 소비를 줄여야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커피값만 줄여도 한 달에 대략 4만원

12달이면 48만원.

이를 직접 기록해보고 느꼈더니 절로 커피값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고,

집에서 내려 마시는 커피에 익숙해졌습니다.

여러분들도 오늘부터

소비할 때 한 번만 더 생각해보는 습관을

기르는 것은 어떨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