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의 정석
장시영 지음 / 비얀드 나리지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제로는 쓰임새도 그다지 많지 않은데 영어로 능력을 평가하는 시대에 살아온 것 같다. 일반적인 나의 생활에 필요한 영어 정도는 활용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영어 실력 평가에는 항상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지내온 것 같다. 어느 정도 할 수 있는 다른 외국어들과 견주어 보아도 가장 많은 금전과 시간과 노력을 투자를 것 같은데 그 효과는 가장 적은 것 같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그 정도 투자라면 듣고 말하고 읽고 쓰기가 현지인과 같은 정도가 되고도 남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이 안타까운 현실이다. 무엇이 잘 못되어서 그런지 아직도 이해가 안되고 근본적인 원인이 무엇인지 궁금해진다. 일반적으로 2000 시간만 몰입하여 영어에 투자하면 된다고 한다. 실제로는 이것보다 몇 배나 더 많은 시간들을 사용했지만 대부분의 시간이 낭비였기 때문에 지금의 실력밖에 되지 않은 것이다. 영어 공부에 대한 나의 잘못된 방법이 도대체 무엇인지 이제는 찾아내고 싶은 심정으로 영어의 정석에 기대를 했었다. 결론은 그다지 신통치 않다는 것이어서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언어를 어순대로 이해하지 않는다는 것은 해당 언어를 사용하지 않겠다는 말과 같습니다. 모든 언어에 그 언어 나름의 어순이 있다는 것은 해당 언어는 그 언어의 어순대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라는 말로 영어 어순대로 영어를 이해해야 한다는 주장에 처음에는 혹하는 마음이었다. "Someone just ran past your window." 누군가 방금 너의 창문을 지나서 갔다를  " _ 이해 : 누군가 방금 달려갔다. 지나간 것은 너의 창문"  이렇게 이해를 해야 한다고 한다. 처음엔 그럴듯하다고 생각했는데 이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 아직도 이해가 안된다. 책 처음부터 끝까지 전부 이런 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영어, 영어식 한국어, 다시 올바른 한국어 이런 단계를 왜 거치게 만드는지? 영어 한국어 일대일 대입을 기억하는 게 좋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영어의 어순, 명사, 전치사, 접속사, 관사, 분사, to 부정사, 미래, 부사 등 목록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영문법에 관한 것이다. 자세한 설명이 들어 있어 이해가 쉬워 공부에 도움은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