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이 묻고, 톨스토이가 답하다 - 내 인생에 빛이 되어준 톨스토이의 말
이희인 지음 / 홍익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 부활, 바보 이반 등은 작가와 책 제목이 바로 연결될 정도로 뚜렷이 기억 속에 남아 있고, 안나 카레니나, 이반 일리치의 죽음, 크로이체르 소나타, 인생이란 무엇인가, 사람에겐 얼마만큼의 땅이 필요한가, 하느님은 진실을 보지만 말하지는 않는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등은 처음으로 접하는 듯하면서도 어딘지 익숙하다. 함께 언급되는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등도 아주 익숙하다. 이렇게 낯설지 않은 것들이지만 구체적인 내용으로 들어가면 전혀 기억이 없다. 간신히 기억을 더듬어 보면 몇 번인가 읽으려고 시도했던 책들은 있지만 어느 하나도 완독한 것은 없었다. 그래도 일부분이지만 작가와 책 제목이 바로바로 튀어나오는 이유는 성적을 좋게 받으려는 강제 주입식 암기 위주 학습 풍토의 여파라는 생각을 해본다. 시간과 공을 들여 독서를 하면서 내용도 읽고, 작가의 숨은 뜻도 읽고, 나라면 어떻게 할 것인지를 생각하면서 익힌 것이 아니고 누군가가 정리해 놓은 내용을 달달 외우기만 했으니 내용이 기억이 날 리가 없을 것이다. 가로 늦은 일이지만 사는 내내 등한시 해왔던 책 읽기에 새로운 목표를 가지고 도전을 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내용보다는 양적인 계획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1일 1권까지 시도를 했으나 무리한 도전 탓으로 지금은 아주 많은 스트레스와 함께 책 읽는 것 자체를 거부하는 극심한 침체기에 빠져있다. 이런 나에게 책을 읽고 그것으로 한 권의 책을 멋지게 써낸 것만으로도 존경의 대상이 된다. 게다가 아주 먼 거리인 톨스토이의 고향까지 방문할 정도의 정성이 녹아있는 것이어서 더욱 신뢰감이 생긴다. 어떤 방법으로 얼마나 많이 책에 빠지면 자기 나름의 분석을 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할 수 있게 될는지 궁금하기만 하다. 책 읽기는 그럭저럭 마치기는 해도 줄거리마저도 하나도 기억이 안 나는 것은 방법이 너무도 틀렸기 때문일 것이다. 책 읽기의 목표는 수량 채우기는 당연히 아니고 줄거리 이해도 이제는 아니다. 800자 밖에 안되는 서평 쓰기에도 허덕이는 현재의 수준이지만 책 읽기 후 이 책 수준의 글쓰기를 목표로 정한다. 내용을 읽고 작가의 진심을 이해하고 나만의 개념을 세울 수 있을 정도가 되려면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어렵겠지만 도전은 계속해 나갈 생각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