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해와 이순신
정호영 지음 / 하다(HadA)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살설과 은둔설 등 죽음의 비밀이 지금도 논란으로 남아있는 이순신 장군과  세자로서 분조 활동을 통해 임진왜란 수습을 했던 광해군의 이야기이다. "이 소설의 내용은 철저히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했다. 작가의 상상력에 의한 허구는 1퍼센트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라는 말을 어느 정도까지 믿어야 할지 판단이 여전히 되지 않는다. 이순신 장군의 죽음 속에는 노량해전에서 왜적의 흉탄이 아니라 암살, 자살, 은둔설 등등을 새롭게 알게 된 것도, 인목대비를 폐하고 어린 영창대군을 죽이는 등의 악행으로 인조반정으로 쫓겨나 군으로 호칭되고 있는 광해군이 조선을 구했지만 내부의 적에 의해 희생된 비운의 주인공으로 그려지고 있는 것도 머릿속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에 조선통신사로 다녀온 김성일이 전쟁이 없을 것이라고 주장에 대한 해명으로 전국적인 징병과 백성들의 엄청난 세금 부담이 지워질 전쟁 준비를 염려한 것이었다고 아주 구차하게 변명하는 같은 동인인 유성룡이 임진왜란 수습의 일등공신이자 문제 해결자로 그려지고 있는 것도 평소에 알고 있던 것과 너무나 달라서 역시 헷갈린다. 백성은 물론이고 국토까지도 왜구에게 처참하게 유린당하는 것을 무시하고 북쪽으로 몽진한 선조가 온갖 악행은 골라 가면서 다 저지른다. 이런 사람이 한 나라의 대표였으니 죄 없는 백성들만 고초를 겪는 것이다. 외적의 침입에 대한 준비가 전혀 안되어 있었기 때문에 속수무책으로 당한 것이다. 신하들은 동인, 서인, 남인, 북인으로 갈라져 자기들의 사욕을 위해 피비린내 나는 싸움이나 해대고, 왕이란 작자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이들을 이용하기만 하는 판에 준비라는 것이 있을 수 없을 것이다. 이렇게 참담함을 겪었으면 뼈저린 반성과 함께 재발방지를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인데 그렇지 못한 것이 우리의 문제다. 자기들의 이권 다툼으로 지새우며 모든 것을 외세에 의존하다가 끝내는 식민지 생활에다 국토분단과 동족상잔, 이산의 아픔까지 겪고 있는 지금이 되었음이 분명하다. 전쟁의 참화는 우리나라 백성들이 다 떠안고, 하지만 강화협상은 명과 일본이 하는 모양새가 미국과 북한만 참석하는 핵협상과 무엇이 다른지 아리송하기만 하다. 한국은 역사적으로 자기들 속국이었다고 공개적으로 이야기하고 다니는 중국을 보면서도 대비책은커녕 쓸데없는 다툼만 일삼는 정치판이 오욕의 역사를 지금도 되풀이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걱정스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