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원 제로, 혼자 시작하겠습니다 - 좋아하는 일을 하며 이익을 남기고 여유롭게 사는 1인 비즈니스 성공법
야마모토 노리아키 지음, 구수영 옮김 / 21세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택과 교육비에 큰 비용을 지출하는 40대 즉 다소비 세대 인구가 많을 때는 경기가 좋아지거나 주가가 상승했단다. 일본의 경우 1947~49년생(단카이 세대)이 40대를 넘어선 1987년 이후 일본 경제는 버블로 들끓었고 그리고 1971년~74년생(단카이 주니어 세대)의 2011년 이후 경제가 상승 추세를 보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후로는 다소비 세대 인구, 생산 가능인구, 총인구 모두 현저하게 감소할 것이고 따라서 경제규모가 줄어들 것이라는 현실을 받아들이고 여기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한다. 경제 규모가 줄어들고 성장하지 않는 세상에다가 로봇이나 인공지능의 발달로 많은 직업이 사라져 버린 암울한 현실에서 돈이 많지 않아도 쾌적하게 사는 방법, 어떻게 즐겁게 살아갈 것인가를 생각하는 것에 공감하는 마음도 있지만 이 방법뿐일까? 하는 의구심도 생기기도 한다. 돈이나 명예와 상관없이 자신이 좋아하는 일, 잘하는 일을 하면서 가급적 오랫동안 일을 하면서 살아가는 삶을 추구하는 시대로 변한다. 이러기 위해서 자연스레 창업이나 장사를 하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지는 세상이 되어야 하고 그래서 1인 경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렇게 그냥 매일 세 끼를 먹고 살 수 있을 정도에 만족을 하고 다만 할 수 있는 대로 오랫동안 즐겁게 계속할 수 있으면 된다고 한다. 하지만 많은 수의 사람들이 이런 사고방식의 삶을 실제로 살고 있게 된다면 현재의 우리들 대다수가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입을 의복, 먹을 양식, 자고 쉴 수 있는 집을 최소한으로 부족하지 않게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되는지 의문이 생긴다. 노령화에 의한 노동인구의 감소와 절대적인 인구감소로 인한 수축 사회에다 언젠가는 현실화로 도래될 초지능의 탄생에 대비한 활동을 먼저 행해야 한다. 파이가 줄어드니까 그기에 맞추어서 살아야 할 방법을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파이를 키울 수 있는지 해결책을 고민하고 실행에 옮기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것은 혼자 힘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물론 개인을 희생하라는 것은 아니다. 먼저 1인 경영처럼 개인의 안정화가 이루어진 후에 이 개인들이 결합하여 시너지 효과를 내는 시스템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