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자들이 알려주지 않는 마음의 비밀
대니얼 리처드슨 지음, 박선령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18년 11월
평점 :
절판


심리학 관련 책을 읽을 때마다 드는 의문은 "왜? 이해도 잘 안되고 기억도 잘 안되는가?"이다. 요 근래에 몇 권이나 되는 심리학 관련 책을 읽었지만 조금도 나아지는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중도에 포기하지 않기 위하여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 건너뛰고, 나름대로는 최선을 다해 꾸역꾸역 마지막 책장을 덮고 나서 생각해 보면 머릿속에 남아있는 게 없다. 익숙해질 때도 되었지만 좀처럼 와닿지 않는 용어들은 어렵고 이해가 안되는 정의 탓에 단어 자체도 안 외워지고 뜻도 모르는 채로 남게 되는 것 같다. 이번에는 책 속에 언급되는 것 중에 변화맹(Change blindness), 소박실재론(Naive realism), 인지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이 세 가지만은 확실히 해둘 작정이다.

변화맹이란 보이는 것의 변화가 뇌에 의하여 변화를 의식하지 못하는 현상으로 즉 어떤 한 곳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보면 눈앞에 일어난 큰 변화조차 보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뇌는 들어온 정보를 모두 선택해 저장하지 못한다. 필요한 것만 기억할 뿐이다. 때문에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실제로 우리가 알고 있었다고 생각한 하나의 장면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도 그것을 미처 감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변화맹은 수백 년 동안 마술사들이 행해온 수많은 마술의 비밀이기도 하다.

소박 실재론(Naive realism) : 나는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보고 있으므로, 내 주관적 경험과 객관적 현실 사이에는 어떤 왜곡도 없다고 믿는 경향성을 말한다. 자기의 생각대로 선택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인지부조화는 개인의 행동, 태도, 신념 들 간에 불일치가 있음을 인식할 때 생기는 불편한 마음 상태에서 오류를 바로잡기보다는 생각을 바꿔버리는 것이다. 여기서 사람들은  합리적인 결론보다는 부조리하지만 자신의 기존 생각에 부합하는 생각 즉 어리석은 선택을 한다.

인터넷 등에서 끌어다 나름대로 정리는 해보았지만 100% 이해가 되었다고는 생각지 않는다. 이외에도 여러 가지 편향들이나 맹점들이 나를 착각 속에서 올바른 선택을 하지 못하도록 방해를 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발 들여놓기와 같은  원리를 알면 교묘한 장삿속에 속아넘어가지 않을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올바른 판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다양한 이론들을 명확하게 이해하여야 한다는 생각은 하지만 마술사들의 눈속임을 잡아낼 수 있는 경지에 도달할 수 있을지는 의문으로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