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지 않는 연습 - 불필요한 열등감에서 벗어나는 삶
가토 다이조 지음, 장은주 옮김 / 더퀘스트 / 2018년 11월
평점 :
절판


"무엇보다 열등감을 바르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사람은 왜 심한 열등감을 갖게 될까?'하고 열등감을 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우선이다.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문제를 바르게 이해하고 있어야지만 바르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열등감이란 부모의 지나친 간섭이나 혹은 무관심한 환경이 그 원인이며, 성장과정에서 심리적으로 스스로 눈속임을 하며 살아온 결과로서, 적의가 있는 고독감이며, 자신에게 없는 것에서 가치를 발견하는 착각으로 자신이나 타인을 평가할 때 왜곡된 가치관을 적용한다. 그리고 무의식에서 스스로 멸시해야 될 사람이라고 느낌과 동시에 다른 사람보다 거대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모순된 생각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열등감이 심해지면 끊임없이 남과 비교를 하여 항상 자신의 약점을 과장되게 의식하여 상처를 받는다. 자신이 온전히 인정받지 못한다는 괴로움 때문에 남을 믿지 않는다. 그 결과는 애정결핍과 소속감의 결여로 표출된다. 인정받고 싶어 하는 욕구 즉 열등감이 강한 사람들은 타인이 자신을 어떻게 보는지가 노력의 동기가 되므로 타인의 시선이 두렵고 불안해질 뿐이다. 상처받지 않으려고 에너지를 쓰는 것과 흥미나 관심 그리고 애정을 동기로 에너지를 쓴 결과는 완전히 다르다. 외부로부터 주어진 목적이 아닌 자신의 의지로 어려운 과제에 도전했다면 성공하던 실패하던 그 경험 자체가 사람을 단련시키지만 행복해지기 위해 그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고 잘못 해석하고 집착하기 때문에 불행해진다. 사소한 일에도 크게 반응하고 불리한 상황이나 불행한 일에 과하게 반응하여 극단적인 판단을 하는 것과 같이 실패를 과장되게 부풀리는 사람은 남이 아닌 자기 자신이다. 스스로 잘못된 해석을 고치지 않는 한 누구도 손쓸 방법이 없다. 남이 아니라 자기 자신이 열등감을 해소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열등감이 심하다면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것이 우선인데 그 방법이 잘못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좋아하고 즐거운 경험 등과 같은 일보다 우월해지는 일을 우선하고 있다." 받아들여지기 위해 주위 사람을 기쁘게 하는 사람은 절대 존경받지 못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자기비난을 멈추고 자신을 믿는 것을 시작으로 하여 싫은 건 싫다고 할 수 있는 용기가 자신의 열등함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우월하려고 발버둥 치지 않게 만들어 줄 것이다.

"심한 열등감의 원인은 부모의 무관심이나 비현실적인 기대 때문이라는 뜻이다. 자신이 부모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생각했을 때 그것은 심한 열등감으로 이어진다. 그 결과 자신의 목적이 무엇인지, 자신의 위치가 어디인지 알 수 없게 된다." 이렇게 보면 열등감 나아가서는 우울증이 어릴 때 부모에게서 시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지금의 열등감 치유도 해야 되겠지만 미래의 열등감 해소를 위해서 젊은 부모의 교육이 가장 시급한 것이라는 생각을 한다. 이렇게 중요한 일인데 국가 차원에서 강제적으로라도 부모 교육을 시키여 한다는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