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학 시선 K-포엣 시리즈 5
안상학 지음, 안선재(안토니 수사) 옮김 / 도서출판 아시아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며칠 전에 읽기를 시도했다가 뭐가 뭔지 헷갈림이라는 부정적 기분만 가득 안겨 주었던 김현 시선 보다는 그래도 다소간은 이해와 느낌을 가져올 수 있다는 기분이 들었다. 20개의 시를 먼저 단숨에 읽어 내려가 보았다. 군데군데에서 몇몇 구절들이 마음에 와 닿았지만 감탄하고 푹 빠질 정도는 아닌 것 같았다. 그래도 이대로 끝내기에는 뭔가 모를 아쉬움도 남아있고, 다시 시들을 읽을 때 도움이 될 것이 분명해서 읽어본 뒷부분의 시인노트에서는 내 시는 슬픔이 생겨나는 과정의 슬픔을 원래 있던 자리로 되돌리고자 하는 꿈의 현현이다.’와 해설에서는 안상학의 시는 무위자연의 인식을 바탕으로 구축되어 있다.’와 그리고 안상학에 대해에서는 안상학은 이와 같은 서정적 시간의식에 기반을 두면서 가족에 대한 기억을 통해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맺으려는 시적 성찰을 펼치고 있다.‘라는 등등의 설명을 읽으면서 아주 멋지다고 할 수 밖에 없는 해설을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노력과 지식이 있어야만 시의 행간을 읽을 수 있는지 궁금증이 생기고, 현재의 나 자신의 수준으로는 시 읽기에서 즐거움을 누리면서 새로운 지혜를 얻어 내기에는 아직은 멀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읽어 내려가면서 제일 먼저 눈길을 끄는 것은 그 사람은 돌아오고 나는 그기에 없었네(When that Person Came Back, I was Not There)‘에서 '아무리 급해도 내일로 갈 수 없고(No matter how urgent, I cannot go on to tomorrow.) 아무리 미련이 남아도 어제로 돌아갈 수 없네(No matter how reluctant, I cannot go back to yesterday.) 시간이 가고 오는 것은 내가 할 수 있는 게 아니었네(The way time comes and goes was not something possible for me.) 계절이 오고 가는 것은 내가 할 수 있는 게 아니었네(The way seasons come and go was not possible for me.) 그때 나는 그 기 서서 그 사람을 기다렸어야 했네.(I should have stayed standing there, waiting for that person.)'이었다. 어떻게 해도 안 되는 원래부터 할 수 없었던 일은 애초에 시도조차 하지 말고 그 자리에 서서 기다려야 하는 걸 깨닫게 하는 것 같다. 그리고 같이 병기된 영어에는 낮 설어서 그런지 아직은 느낌을 받을 수 없었다. 이제 막 시작 문턱에 발을 들여 놓은 수준이므로 나 자신의 시 읽기는 한두 번으로 끝낼 것이 아니라 시간이 허락할 때마다 자꾸 반복하여 읽어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