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쎈연필 > [퍼온글] 된장국*찌게?!

 

1. 모처럼 일찍 일어나서 얼굴세수 10여분,얼치기 요가-앉아서 자세연습 50분을 하니, 아침시간이 그래도 많이 남는다. 배도 출출하여 밥을 하구, 반찬은 있는데...국이 없다. 핑계삼아 요리 하지 않은 지가 아득하다. 이러다 말년이 순탄치 않으리라.

2. 된장국 생각이 나 된장 한수저 듬뿍 그릇에 떠놓고, 부대재료를 찾는데, 호박도 없구, 달랑 두부와 냉이밖에 없다. 없는데로 하지, 된장은 벌써 호들갑을 떨고 있고, 두부는 대충 작은 크기로 썰고, 고추 조금하여 된장 맛을 보니, 흐리멍텅하다. 뭐가 부족하긴 한데...냉장고 문을 열어보니, 중크기의 멸치가 조금있다. 궁한데.. 한숨 넣고 끓이니 조금 나아진다.  두부와 냉이를 넣고...두껑닫고 다시 끓인다. 어~ 냉이가 좀 부족하다. 좀 더 넣었다. ....

3. 밥 한술에 국맛을 보니 오묘하다. 국이 아니라 국도 아니고 찌게도 아니고.... ...

4. 아무래도 오늘 작전이 실패한 듯하여 된장국 끓이는 법을 살펴보니,

4.1 쌀뜨물을 이용해야했다.(하지만 벌써 밥은 했는 걸 어떡하라구.)

4.2 잘한 점은 된장을 넣고 끓였다는 점, 하지만 끓으면서 거품이날 때가 고점인데 그냥 고~ 해버렸다.

4.3 멸치는 먼저 넣고, 호박-감자-버섯, 두부는 보기좋게 준비하고 썰어야했다. 급해서 그냥 둠성 썰었다.

4.4 고추는 왜 넣었지? 약간 얼큰하게 ... 고추맛이 나질 않았다.   잘할 때까지 한번 더해보자..

<펌>

 국물 맛있게 끓이는 방법
* 된장국을 끓일때 : 된장을 중간에 넣으면 날냄새가 나기 쉬우므로 된장은 처음부터 넣고 끓인다. 너무 오래 끓이면 된장의 입자가 뭉쳐져 입안의 감촉이 나빠지고  된장의 향기가 없어지므로 한번 끓으면 곧 불을 끄는 것이 원칙. 즉 된장국은 불을 끄는 싯점이 대단히 중요한데, 된장국이 끓으면서  커다란 거품이 일기 시작하면 곧 불을 끄도록 한다. 감자를 넣고 끓일경우 감자는 될수 있는한 쉽게 익을 수 있도록 얇게 썰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감자를 익히기 위해 된장을 오래 끓이면 된장의 맛이 없어진다. 생선을 넣어 끓일경우, 미리 된장을 넣어 비린내를 없애야 하므로 필요한만큼의 된장을 반으로 나누어 반은 처음에 반은 끓기 직전에 넣으면 제맛을 살릴수 있다.

 
(추가-오늘의 요리상식) 조미료 넣는 순서
설탕, 소금, 식초, 간장, 된장의 순으로 넣는다. 이는 조림 등 재료의 속까지 베어게 하는 요리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조미료 사용법이다. 제일 먼저 설탕 간장을 먼저 넣으면  간장에 함유된 염분이 스며 들어가 재료를 단단하게 응고 시켜, 설탕의 단맛이 배는 것을 방해한다. 그리고 간장이나 된장 등 향을 살려야 하는  것은 오랜 시간 가열하면 안된다. 그러므로 나중에 넣는 것이 좋다. 맛술도 풍미가 날라가 버지지 않게 나중에 넣는다. 소금을 넣는 조림도 마찬가지, 우선 설탕을 넣고 소금을 넣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