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어 라이프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13
앨리스 먼로 지음, 정연희 옮김 / 문학동네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전적 소설을 쓸 때는 인생, 시간, 회고 같은 말을 안 쓰는 게 낫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지만 어쩔 수 없이 써야 한다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뭘지도 고민해 보게 된다. 그런 점에서 앨리스 먼로의 마지막 소설 <디어 라이프>는 읽어 보기도 전에 그가 참 서정적인 소설가가 아닐까 하는 오해를 하기 충분한 제목이었다.

분위기 있어 보이는 백발머리, 글 쓰는 여자 특유의 지적인 늙음. 그 늙음이 초래하는 아름다움이 내가 하는 오해를 한층 더 두텁게 했는데 이 소설집의 첫 작품을 읽으면서 그런 마음은 여지없이 깨지고 만다.

소설집에 수록된 첫 작품 <일본에 가 닿기를>은 디어 라이프와 참 어울리는 서정적 제목이라 생각했다. 그런데 소설을 읽어나가면서 내가 생각했던 그런 게 아님을 점점 알아가게 되었다.

디어라이프에 등장하는 여성들은 자기 생각과 주장이 강하지만 유난히 억압된 사회에 살고 있었다. 가족을 위해 저녁마다 극장으로 일을 하러 나가지만 영화는 볼 수 없는 여자, 남편의 편견과 아집에 전전긍긍하며 음악적 취향이나 주변인들과의 만남도 잘 할 수 없는 여인들이다. 그런 여인들이 예고도 없이 일탈을 하며 사건이 일어난다.

특정 종교에 갇혀 지내던 여성이 타운 목사의 아들과 도망쳐 가정을 꾸렸으나 새로 부임한 목사와 바람이 난다던지, 파티에서 만난 남자를 만나기 위해 친구의 빈집을 지키러 가다가 기차에서 만난 남자와 정사를 벌이고, 가족을 위해 바쁘게 사는 남편을 배신하며 자원봉사하던 직장의 뜨내기 배우와 새 살림을 차리기도 한다. 어찌보면 도덕적으로 지탄을 받아야 하는 사건들이지만 앨리스 먼로는 그런 여인들의 이야기를 담담히 냉정하게 쏟아낸다.

이런 스타일은 마지막에 수록된 <디어 라이프>에도 고스란히 반영 되었는데 사춘기 시절 어머니에게 반항 했다가 아버지에게 허리띠로 매를 맞는다든지(그 당시에 전형적으로 있었던 체벌이라고 설명까지 덧붙였다) 동네 미친년으로 찍힌 네이필드 부인을 대하는 어머니의 모습도 담담히 기술했다(품위만 있다면 아무렇지 않게 대한다는).

사건은 두 번의 유산 끝에 어렵게 얻은 자신이 아기였을 때 유모차에 태워놓고 다른 일을 하던 사이 네이필드 부인이 꽤나 떨어진 자신의 집까지 찾아와 아기 유모차의 담요를 들취보고 집안을 들여다 보면서 시작된다. 혹시라도 아이를 빼앗길까봐, 혹시라도 식료품 배달원에게처럼 손도끼를 들고 해코지를 할까봐 유모차에서 아이를 안아들고 부엌 벽에 서서 네이필드 부인이 돌아가기를 기도하던 어머니. 파킨슨 병으로 혀가 굳어가던 어머니가 그 때의 이야기를 들려 주었고 훗날 네이필드 부인이 그 집에 거주했던 적이 있었기 때문에 집안을 둘러보던 거였다는 걸 알게 되었다.

그러다 불현 듯 깨달았다. 네이필드의 딸로 보이는 여성이 쓴 고향 신문에 실린 시를 읽으며 어머니와 이야기하고 싶었던 작가는 어머니와 네이필드 부인이 혹시 닮았다고 생각했던 건 아니었을까? 그래서 파킨슨 병으로 죽어가는 어머니를 남겨놓고 결혼해서 토론토로 떠나 왔으며 그녀가 나열한 사정을 빌미로 어머니의 임종도 장례식에도 일부러 가지 않았던 건 아니었을까 하고 말이다.

그리고 또 한가지를 알았다.

디어 라이프는 번역하면 삶을 위하여 혹은 삶에게, 라고 읽을 수 있지만 앞에 for-를 붙이면 죽기살기로(for dear life)’라는 의미로 번역된다는 것을. 그러니까 작가는 서정적인 소설을 쓴 게 아니라 삶의 과격하고 위악스런 단면을 보여주는 소설을 쓰고 있었던 것이다.

어머니의 마지막 순간에도 그리고 장례식에도 나는 집에 가지 않았다. 내게는 어린 자식이 둘 있었는데 밴쿠버에는 아이를 맡길 사람이 없었다. 우리는 거기까지 갈 경비가 없었고 내 남편은 의례적인 행동을 경멸했다. 하지만 그것이 왜 그의 탓이겠는가. 내 생각도 같았다. 사람들은 말한다. 어떤 일들은 용서받을 수 없다고, 혹은 우리 자신을 결코 용서할 수 없다고. 하지만 우리는 용서한다. 언제나 그런다.

 

독립적이건 그렇지 않건 나이를 먹으니 서정시대를 살기는 힘들어질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