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무의식 - 엄마와 아이를 이어주는
이무석.이인수 지음 / 미류책방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부터 부모를 완벽하게 잘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누구든 부모가 처음이듯이 우리들도 무거운 짐을 내려놓아도 될듯 한데 쉽지 않다.

어쩌면 그 책임감때문에 아이들에게 커다란 짐을 주고 있지는 않나 뒤돌아보게 된다.

정신분석가 부자가 알려주는 내 아이 자존감 키우는 법,

[엄마와 아이를 이어주는 따뜻한 무의식]책을 읽으며

우리의 무의식이 얼마나 무서운건지 알게 되었다.



보이는게 다가 아닌 빙산의 일각처럼 우리의 무의식이 우리를 지배한다고 생각하니 아이들에게 그 무의식을 잘 심어주고 싶다는 생각에 나의 무의식도 뒤돌아 보는 계기도 되었다.

"아이는 엄마의 무의식을 먹고 자랍니다."

자기 자신을 정확히 알아야 아이를 잘 키울 수 있다는 말에 나의 어릴적을 회상해 보았습니다.

어쩌면 저는 나를 믿어주고 지지해 주었던 좋은 엄마를 만나서 어릴적부터 큰 두려움없이 새롭게 시작하는 일에도 두려움을 크게 느끼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공부를 잘 하지도 않았고,뛰어난 재주가 있었던 것도 아니지만 내 인생 잘 살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인생에서 많은 시련들이 있지만 그 시련을 힘들게 받아들이는게 아니라 '이겨내면 되지!'하는 생각으로 긍정적으로 헤쳐나가고 있는 내 자신이기에 아이들에게도 그런 따뜻한 무의식을 심어 주고 싶습니다.

부모가 행복해야 아이들도 행복하니까요^^

'금쪽같은 내새끼' 프로그램을 보면 부모님들부터 변해야 아이들도 변하는모습을 보면 평소의 모습이 중요하다는걸 느낍니다.

'자존감'이란? 자신에 대한 자신의 평가라고 합니다.

놀라운 것은 이런 평가가 기억도 나지 않는 유년기 경험에서 시작된다는 것에서 놀랐습니다.

자존감이 높다는 것은 세가지 면에서 스스로 인정하는 것을 말한다고 합니다.

첫번째 요소는 자기 가치감입니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누구를 만나든 상대방이 자신에게 호의적으로 대할 것이라 예상하기 때문에 상대방을 편안하게,기대하는 마음으로 만나고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상대방이 자신을 재미없어 하고 싫어할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스스로가 불편해집니다.

자존감의 두번째 요소는 자신감입니다.



자신감이 있는 사람은 희망적이라서 무엇이든 도전할려고 하고 자신감이 낮은 사람은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것 같은 무기력등에 잘 빠진다고 합니다.

자존감의 세번째 요소는 도덕적 자기평가입니다.



죄책감을 가진 사람은 남 앞에 떳떳하게 설 수가 없습니다. '도둑이 제 발 저리다'는 속담처럼 스스로 켕기기 때문에 남이 비난의 화살을 쏘기도 전에 벌써 처벌을 두려워하며 떨게 된다니 스스로 자기평가도 엄청 중요합니다.

아이가 처음 태어나 가장 먼저 접하는 사람이 엄마입니다.

엄마가 웃어주면 아이는

'나는 예쁜 아이구나'라는 자아상을 만들어 가고 높은 자존감이 생긴다고 합니다.

아이와 함께 있으면 즐겁고 행복한 엄마가 아이에게도 좋은 엄마이고 아이에게 좋은 자존감을 갖게 도와줍니다.

그렇다고 좋은 부모란?

무엇일까요?



좋은 부모 되기 5계명

1계명-귀가 후 첫 5분을 아이에게

2계명-다른 아이와 비교하지 않는다.

3계명-아이에게 명령할 때 따라야 하는 이유를 설명해 준다.

4계명-아이에게 완벽한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5계명-아이의 감정 표현을 아이와 소통하는 기회로 삼는다.

세상한 완벽한 부모는 없습니다.완벽할려고 노력하다보니 더 힘들어지는게 현실이죠 ㅠ 완벽한 부모보다 좋은 부모이면 됩니다.

내 아이를 있는 그대로 이해해주고 받아주는 엄마가 좋은엄마인것 같습니다.

무한경쟁속에서 아이가 행복하길 바란다면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는 엄마가 되어야겠습니다.

아이에게 '따뜻한 무의식'을 심어주는 것은 부모로써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이라고 합니다.

아이는 그 무의식을 양분 삼아 평생 행복하게 살 수 있다고 하니 아이가 진정 행복하게 잘 살 길 바란다면 아이를 보며 웃어주세요.

지금 현실이 행복해야 미래도 행복하다 느끼는 엄마이기에 아이들과 나에게 주어진 오늘을 최선을 다하며 살고 싶습니다.

살아있는 오늘이 행복하다 느끼며 살고 있습니다.

더 나이지길 바라는 것도 중요하지만 나의 현실을 받아들이고 인정하는 것부터 고쳐가야겠습니다.

이 책을 읽으며 '좋은엄마,어렵지 않구나!',지금처럼 아이들과 웃으며 살고, 아이의 능력을 평가하지 않으며, 옆에서 버팀목만 되어 주어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습니다.

좋은 무의식을 심어주고 싶습니다.지금도 늦지 않았다 생각합니다. 느꼈을 때 실천하는게 제일 빠릅니다.

오늘도 아이를 꼭 안아줍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았지만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