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천사의 눈물을 보았다
박종인 외 지음 / 시공사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학교에 가면요, 세상이 보여요. 내가 어떤 사람인지도 배우고요,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도 알게 돼요."  p171(아프리카에 사는 쿠마)
학교에 가는 대신 종일 돌을 깨트리는 네팔의 루빠.
집을 나와 버스의 차장이 된 네팔의 순버하둘.
단지 배우기 위해 히말라야를 넘는 조그마한 티벳의 아이들.
노동의 고통에 스스로 목숨을 끓으려 했던 인도의 문니스와리.
암묵적인 동의아래 어린 소녀들의 매춘이 행에지는 캄보디아의 몽.
저주받은 아이에서 희망의 아이가 된 우간다의 베나.
명예살인의 희생자에서 위대한 여성 지도자가 된 비비.
 
위험을 무릅쓰고 네팔, 티베트, 인도, 캄보디아, 우간다 등을 돌았던 특별취재팀이 들려주는 소외된 지역에 사는 아이들의 이야기. 배우고 뛰어놀며 꿈을 꿔야 할 아이들이 값싼 노동에 꿈이 짓밟히고 있다. 표정을 잃고 배고픔에 허덕이고, 배움에 허덕인다. 저자들은 이 책을 통해, 책을 읽는 이들이 아이들의 고통과 절망뿐 아니라 이겨낼 수 있는 잠재력과 도움줄 수 있는 희망도 맛 보기를 바란다고 했다.
 
-덧1)
훗날 소문으로는 이들 죽은 자들은 초오유 설산 깊은 크레바스에 버려졌다고 했다. 쓰러진 사람들은 자유를 찾아 인도로 향하던 티베트인들이고 총을 겨눈 이들은 중국 국경 수비대 대원들이었다. 죽음을 각오하고 고산을 넘는 사람들. 그리고 그들을 저지하기 위해 그 높은 산에 주둔하는 군사들. 이 비현실적인 현실 앞에서 우리의 의문은 오직 하나였다. 도대체 왜? p47
1959년 티베트를 무략침략한 중국정부를 피해서 티베트 사람들은 인도 다람살라에 망명정부를 세웠다.
어떤 경로든 반드시 랑파 라를 넘어야 티베트에서 인도로 넘어올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영하 40도의 설산을 넘는 고통뿐만이 아니라 그 곳에는 중국의 군인들이 그 곳을 넘으려는 티베트 사람들에게 기관총을 난사한다.
아홉살 짜리 여자아이 잠파는 부모를 두고 혼자서 히말라야를 넘어야했으며, 히말라야를 넘으며 부모를 잃은 아이들도 많다.
배우고 싶다는 욕구는 목숨과 맞바꿀만한 가치가 분명있는 것일까?
한현우 기자의 말처럼, 그들이 마침내 남의 나라에서 망명객으로 떠도는 시간이 멈추게 될 그날을, 나 또한 소원한다. 
 
"의사가 되고 싶어요. 다른 사람을 돕고, 다음 세상을 위해 덕을 쌓을 수도 있으니까요."아홉살 아이가 다음 생을 이야기한다. 이 생에 주어진 자신의 삶이 이리도 고단하거늘, 너는 남을 돕겠다며 다음 생을 꿈꾸는구나. p58
 
-덧2)
쓰레기로 배를 채운 아이들은 미라 잎을 주으러 다니기 시작했다. 미라는 마약으로 분류된 식물 잎이다. 마티아스가 말했다. "미라잎을 씹으면 하루 종일 잠도 오지 않고, 배도 고프지 않아요. 그러다 다음날 하루 종일 곯아떨어져 자게 돼죠." 아이들에겐 '자그마치 이틀'이라는 긴 시간을 힘들이지 않고 보낼 수 있는 방법이 바로 미라 잎을 씹는 것이다. p159. 케냐
 
2003년 5월29일 오전 8시. 열다섯 살 소년 조프리 오비가의 꿈은 산산조각이 났다. 무치위니 마을에 살면서 매달 한국인으로부터 꾸준히 후원을 받아 공부하던 소년이었다. 고등학교를 마치고 기술을 배워 돈을 벌겠다는 꿈을 꾸던 아이였다. 등교 준비를 하던 아침, 반군이 무치위니에 들이닥쳤다. 어린 조프리를 끌고 산으로 데려간 반군은 아이의 두 손을 묶고선 귀를 자르고 손가락을 모두 자르고 입술을 도려내버렸다. 울부짖는 아이에게 그들이 웃으며 말했다. "돌아가서 우리가 얼마나 잔인한지 사람들에게 말하라." p192. 우간다
천사들에게 눈물을 흘리게 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그의 부모인가? 반군인가? 
커피를 마시며, 혹시 나도 천사들을 아프게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해본다. 
근래 보았던 다큐 프로에서, 여행자의 특별한 여행법이 생각난다. 현지인들이 운영하는 시설을 이용하고 현지제품을 구입하며, 동물을 학대하는 투어에는 참여하지 않는 등, 윤리적 소비에 초점을 맞춘 여행. 말 그대로 공정 여행기. 여행객이 쓰는 돈의 대부분이 다국적 기업들에게 돌아가는 구조를 반대하고, 수익을 로컬인들에게 돌려주자는 취지의 여행이었다. 여행자들은 여행내내 자신의 올바른 소비행태에 대해 생각한 후 소비한다. 단순히 자기 위주의 덜 쓰는 소비가 아닌, 여행지의 사람들을 우선 생각하는 타인이 중시되는 착한 여행법이었다. 그리고 이런 공정여행법은, 조금 다른 형태로 요즘 심심찮게 우리의 생활에서도 볼 수있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커피를 마시러 가면 카페내에 "우리는 공정무역에 의한 커피만을 판매합니다"라는 글귀같은 것들, 그곳에서 커피 한 잔의 소비는, 괜히 내가 착한 짓까지 한 것같은 마음까지 행복해지는 소비였다. 타국의 본 적도 없는 아이의 노동에 가슴아파하며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이런 정도일 것이다. 결국 거대한 패러다임 구조를 나 홀로 갑자기 바꿀 수는 없겠지만 이런 작은 행동 하나라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한다. 
이것하나쯤..이라는 마음보다는, 이것부터..라는 소소하지만 결코 작지는 않다라는 생각과 함께..
 

------
아이들의 삶을 취재했던 기자들은, 이후 다시한번 그들을 방문한다.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가지고 돌을 깨던 루빠에게 학교를 다닐 수 있게 해주고, 폭발사고로 4년 동안 집 안에만 있던 치트라의 화상을 치료해준다. 포주에게 돈을 주고 집장촌을 헤매던 몽을 빼내온다. 그리고 자신들의 방문이, 나눔이 일회적인 것이 아니길 바란다.
염소한마리의 희망을 더 큰 희망으로, 자신이 받았던 희망을 또 다른 누군가에게 건네주는 우간다의 제리처럼..
이 아이들도 그렇게 될 수있기를....
 

Pay It Forward.
peaceful coexistenc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