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일하는가 - 심리학 뇌과학 진화생물학 양자물리학이 답하는 일과 삶의 모든 의문들
헬렌 S. 정 지음 / 인라잇먼트 / 2012년 4월
평점 :
품절


○ 작가 및 도서명 : 헬렌 S. 정 <나는 왜 일하는가>

○ 출판사 : 인라잇먼트, 2012

○ 작성일 : 2012. 5. 4

 

 

기록을 남기는 사람, 적자생존이다.

 

 

존 D. 록펠러는 행복으로 가는 두 가지 단순한 원리를 알려준다. 첫째 자신에게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것을 찾아라. 둘째 자신이 잘해낼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내라. 그것을 알았으면, 모든 정신, 에너지, 야망, 타고난 능력을 거기에 쏟아 부으라고 한다. 어쩌면 성공은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부수적으로 얻게 되는 보너스 같은 것일지도 모른다. 자신이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을 찾아 하는 것은 매우 타당한 말이면서도 때론 가장 잔인한 표현이긴 하지만 말이다.

 

“일이 없다면 모든 인생은 부패한다. 그러나 일에 영혼이 없다면 인생은 질식사 한다.” 알베르 카뮈

 

일상의 직장인들은 정해진 규정과 절차에 따라야 한다. 조직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본능으로 줄서기에 혈안이 되는 부류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사실은 자기 능력을 발휘하여 업무에 성과가 있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그 목표를 위해 매뉴얼에 따라야 하고, 보상 체계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나는 왜 일하는가>는 책 제목과 같은 일상의 고민을 누구나 한 번쯤 품고 살지만 명확한 답을 찾기는 쉽지 않다. 이유야 많겠지만 저자는 우리가 보고 듣고 느끼는 일상에 너무 익숙한 나머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느끼고 싶은 것만을 느끼며 익숙한 패턴대로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한다.

 

그래서 제1장에는 ‘최악의 직업과 최고의 직업’을 비교하며 진정한 삶의 보람이 무엇인지 진지한 고민거리를 던져준다. 제2장은 평균 개념의 함정을 통해 불만족의 원인과 대체 방법을 알아보고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는 네비게이션을 전해준다. 제3장은 나를 정의해 가는 과정이다. 마지막 4장은 다소 에둘러 가는 느낌을 받았지만 결론은 유전자스위치 독서법을 기르고 자신의 삶을 기록을 책으로 남기라는 주문을 한다.

 

당신은 방관자로 남을 것인가 기록자로 남을 것인가? 결정할 사람은 당신이다.

그것이 바로 “나는 왜 일하는가?”에 대한 대답인 동시에 “나는 왜 사는가?”, “나는 어떻게 성공할 것인가?”에 대한 대답이다.

 

 

누구나 한 번쯤 해봤음직한 질문에 명확한 답을 내려주는 저자의 식견에 놀랍고 감사할 따름이다. 교보문고 북모닝에서 봤던 좋은 책들이 있어서 소개한다. 이나모리 가즈오 <왜 일하는가>, 린다 그래튼 <일의 미래> 그리고 조지 베일런트 <행복의 조건> 그리고 베리 슈워츠와 케니스 샤프 <어떻게 일에서 만족을 얻는가>를 겹쳐 읽으면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