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규원사화 - 우리 상고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이해를 돕는 역사서
북애자 지음, 민영순 옮김 / 다운샘 / 2008년 4월
평점 :
작년초부터 천착하기 시작한 우리 역사서 읽기가 책을 거듭할수록 깊이 들어가지 않을 수가 없어, 주요 역사서들을 모으면서 읽고 있고 공부하는 중이다. 회사일보다 이 우리 상고사를 공부하는 게 이렇게 즐거울 수가 없다.
<규원사화>는 대부분의 상고사 관련 타 사서와는 달리, 조선후기의 저자가 우리의 상고사를 직접 엮은 몇 안되는 원저로서, 읽으면서 진한 감동을 느꼈다.
길이도 크게 부담되지 않지만 우리의 상고사가 동아시아의 유일한 맹주로서의 우리 선조들의 역사를 생생하게 그리고 있는 책이다. 때때로 북애자의 탄식에 깊은 공감을 하며 장엄한 역사의 면면을 읽노라니 나도 모르게 느끼는 뿌듯함을 꼭 나누어야 되겠다는 생각에 이르렀다.특히 어린 아들에게는 커서 꼭 제대로 역사교육을 시켜야 되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는데 결정적인 공헌을 한 책이다.
지금까지 적지 않은 상고사 관련 서적들을 구했다.
- 이주한: <한국사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 이덕일: <고조선은 대륙의 지배자였다>,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 김상태: <엉터리 사학자 가짜 고대사>
- 최재석: <역경의 행운>
- 고 최태영: <인간 단군을 찾아서>, <한국 고대사를 생각한다>
- 김유경: <부여기마족과 왜>
- 홍윤기: <일본 속의 한국 문화유적을 찾아서>
- 성삼제: <고조선, 사라진 역사>
- 윤내현 선생님의 <고조선연구>, <한국열국사연구>, <고조선의 강역을 밝힌다>
- 리지린의 <고구려사연구>
- 신채호 선생님의 <조선상고사>, <조산상고문화사 (외)>
- 유득공: <발해고>
- 계연수: <한단고기>
- 이승휴: <제왕운기>
- 북애자: <규원사화> --> 민영순 역보다는 김성구 님의 <역사로 기록된 고조선 이야기: 규원사화 역주>에 담겨져 있는 <규원사화>가 깊이있는 주석들이 풍부하고 번역이 아주 잘 된 수준있는 책이다. 무엇보다 가격이 훨씬 저렴하다. 원래 고동영 님의 번역서를 구하려 했으나 도저히 구할 수 없었다. 김성구 님의 글을 읽어보니 보통이 아니신 분이 분명하며 관련 글들을 꽤 많이 연구하시고 번역하신 분이다. 아주 만족한다.
이 중에서 내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책으로 옛서적인 <규원사화>, <한단고기>, <제왕운기> 등이 있고, 역사가의 책으로는 단연코 신채호, 리지린, 윤내현의 서적들과 더불어 고 최태영 선생님의 책이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책들이다. 그 밖에 위에 적은 책들도 하나 하나가 의미가 크고 깨달은 바도 많은 중요한 책들이다.
다만, <규원사화>를 읽으며 다소 아쉬웠던 점은 <규원사화>의 번역의 질이 낮고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한문을 잘 아시는 분이라고 여겨지기는 하나 번역글이 매끄럽지가 않고 글의 중요성을 감안했을 때 이해를 돕는 각주 등이 필요한 상황에서 그런 것은 거의 없고 (아마도 역자가 이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어서 그런 듯) 한자 표현을 공부하는 한문텍스트 교재로 다룬 듯 하여 적잖이 실망했다.
이 책이 소중한 책인 것은 맞으나 모조지를 쓰면서까지 가격을 올려야 했으며 비교적 낮은 품질의 번역글을 실어 놓아 원문의 감흥을 느끼기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민영순님께는 죄송하지만, <규원사화>를 읽고자 하시는 분들은 꼭 김성구 님의 <역사로 기록된 고조선 이야기: 규원사화 역주>를 사시라고 권유하겠다. 이 책에는 <규원사화> 뿐만 아니라 기타 고조선과 관계된 단군관련 기사도 한문과 번역글을 함께 번역해 놓았다.상고사를 공부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