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 랑베르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38
오노레 드 발자크 지음, 송기정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루이 랑베르는 화자가 독자에게 루이가 어떤 사람인지 묘사하는 형식을 띠고 있다. 이 소설의 독특한 점은 사건을 둘러싼 기승전결을 따라가기보다는 루이의 정신세계를 탐색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다. 루이의 친구인 화자는 기숙학교 시절 루이의 정신적 관심사와 그 후 아름다운 여인인 폴리에게 이끌렸을 때 주인공이 어떠한 생각을 했는지를 보여준다

청소년기의 루이에게는 추상적인 관념과 그를 통한 인간의 이해가 절대절명의 중요한 문제로 다가온다. 그가 학교에서 겪는 갈등은 친구들이나 교사와의 관계의 발전 계기로 제시되는 것이 아니라 그의 깊은 사유의 배경으로 아스라히 물러설 뿐이다. 이런 배치를 통해 철학적 혹은 추상적인 관념의 문제가 더욱 부각된다. 루이 랑베르에게는 관념으로 존재를 해명하는 것이 삶의 핵심적 과제, 아니 삶 자체가 된다. 그는 사람이나 자연이 불러일으키는 감정에 감각적으로 반응하지않는다. 그는 보통 사람이 사랑의 격정에 휩싸이거나 자연의 아름다움에 찬탄하듯이 자신의 정신세계 속의 관념에 감각적으로 반응한다. 이러한 루이의 형상화는 내면을  극단적으로 리얼리스틱하게 묘사한 한 예를 보여준다. 리얼리즘의 전형성이 평균적인 상황 속의 평균적인 인물을 그리는데 있는 것이아니라, 극단적인 예의 형상화를 통해 현실의 핵심을 보여준다면 루이가 바로 그러하다.


루이의 사랑을 듣는 순간 독자는 루이의 다른 측면을 기대하게 된다. 관념이 아니라 관능에 감각적으로 반응하기를... 그러나 루이에게는 관능마저도 사유의 대상이 된다. 그는 그녀를 천사라는 패러다임 속에서 완벽하게 이해하고자한다. 그에게 중요한 것은 그녀와의 관계나 자신의 관능의 만족이 아니라 천상의 존재인 그녀를 자신의 사유 속에 완벽하게 포획하는 것이다. 편지 형식은 이러한 사유의 노력에 걸맞는 적절한 형식이다. 마침내 그녀와 하나가 되기 직전 마비되어버리는 그의 모습은 그녀를 완벽하게 자신의 사유의 일부로 만들어내지 못한 절망의 외재적 모습이다

발작은 발작이다. 그가 아니라면 정신과 육체, 관념과 관능의 결합에 실패한 인간의 모습을 이다지도 생생하게 그려낼 수 있을까? 그가 아니라면 애정과 비판의 균형을 한치도 흐트러짐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할 수 있을까? 그가 아니라면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데카르트의 명제가 지닌 가능성과 한계, 그 명제에 대한 찬탄과 비판을 이렇게 생생하게 드러낼 수 있을까? 이 소설을 읽는 것은 새로운 인간을 만나는 경험이다. 첫째, 신처럼 완벽한 사고를 원했지만 실패한 루이. 둘째,  이러한 루이를 그리는 가운데 신이 되고자하는 발. 세째 나 혹은 우리의 부박과 속물근성. 발작은 모두를 생각지도 못한 새로운 세계에 초대한다. 이런 세계도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