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세 도시 이야기
박해천 외 지음 / G&Press / 2014년 7월
평점 :
품절


이 책에는 책의 앞부분에 별다른 기획의 의도가 들어가는 글 등이 없다. 순전히 책으로서 이해가 필요하다. 책의 뒷 부분에 <4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퍼블릭 스토리>의 일환으로 진행된 것으로 추측되며 평촌지역 일대에 정류장이 일부 설치되었을 것이라는 추측 정도를 해본다.

 

책은 크게 5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SOA의 아파트 DNA : 평균적 삶의 기하학

Society of Architecture, 사회와 건축이라는 사무소명처럼 사회와 건축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탐구하고 있으며, 사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건축적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아파트라는 곳이 왜 획일화된 삶의 방식을 만들어냈는지를 살펴본다. 신도시, 표준치수, 아파트의 길이와 BAY, 높이(2.3m), 재료 등으로 당시의 아파트를 설명해주며 건축 이면에 숨어 있던 사회의 모습을 들어낸다.

 

두 번째는  박해천의 마지막 코리아 스탠더드 : 신도시-이마트-중산층

박해천은 디자인연구자로 아파트를 디자인의 관점, 삶의 방식과 사회적 상황과 연계하여서 책과 전시기획 등을 통하여 흥미롭게 풀어내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아파트가 현대사회의 병폐이며 죄악시되는 것이라고 비판하기 이전에 한국에서 아파트는 어떤 상황을 가지고 만들어졌는지를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명쾌하게 풀어내고 있다.

당시의 시대적 상황이 만들어내었던 중산층이라는 보편적인 삶의 모습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고 삶의 모습으로 드러나고 있는지를 소설, 사회적 상황, 문화사회학 등을 통하여 살펴본다.

 

세 번째는 차새날, 김선하, 하헌준, 장대환의 세 도시 아이들

분당, 일산, 평촌 세 도시를 겪었던 현재 학생들의 생생한 경험과 이야기, 일종의 생애사로 생활속에 나타나는 공간들과 물건들, 문화적 배경 등이 흥미롭다. 

 

네 번째는 김성민의 학원과 학원 사이의 학원

평촌의 대표적 모습 중 하나인 학원가를 이야기한다. 평촌, 목동, 대치동, 분당을 중심으로 6개 대형학원에서 운영하는 버스노선도는 신도시의 공간, 장소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마지막은 전현우의 20년 동안의 교통 혼잡 : 신도시 광역교통망 1993~2012

전현우는 책의 참여자소개에 따르면 교통도시동호인으로 분석철학을 공부하고 현대사회의 위험에 대해서 연구하는 사람이다. 전공자가 아니기에 일반인에게 더 설명적일 수 있다라는 생각을 들게 한다. 편리함만 생각하는 도로에 감추어진 이면의 이야기는 평촌과 그 주변지역을 연결하는 단순한 기능이상을 이야기하고 있다.

 

본문의 구성외에 흥미로운 두 부분은 책 서두에 있는 이미지들이다. 이 것들은 평촌이 만들어졌던 시대적 상황을 나타냄과 동시에 현재의 평촌을 상징하는 이미지이기도 하다.

제시된 이미지는 1985년 국제 경제 정책논의를 위한 비-공산주의 5개국 경제수장의 사진, 1993삼성 이건희 세계경영발표 영상, 1993도우미, 1996까르푸, 1994서울의 달, 1993조관우, 1996엘란, 1996시위장면 등이다.

각각은 당시의 본래의도, 새로운 다양성에 대한 시도들은 실패하였지만, 현재에도 다른 의미로 현재에 지속적인 의미와 이야기를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평촌역시 당시의 기획의도와는 다르게 진행되어지고 있다.

 

안양공공예술의 일환으로 진행된 이 프로젝트 4회의 주제가 퍼블릭 스토리였다는 점에서 연구자이자 디자이너이자 건축가들인 이들은 평촌과 그 주변지역 그리고 1기 신도시의 이야기를 다룸으로서 평촌, 안양의 모습을 다시 생각하여 보게 해준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몇 가지 주요 이미지들은 지역주민이 활용하고 있는 버스 정류장에 전시되었고, 책을 통해서도 만나게 된다.

 

이제 지역주민으로서 버스정류장을 찾아가봐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축 없는 국가 - 이종건 비평집
이종건 지음 / 시공문화사 / 2013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상헌 교수의 "대한민국에 건축은 없다"와 이번에 출간된 이종건 교수의 "건축 없는 국가"

 

그동안 건축비평은 인물에 대한 것들도 있었지만, 건축물에 대한 비평이 주를 이루었다. 개인적인 경험상으로는 2007년을 전후로 건축문화건설기술선진화위원회, 건축기본법 등을 통하여 각종 협회, 학회를 중심으로 논의되었던 것에서 벗어나 정책이라는 틀에서 이야기가 시작되었다. 그 전에도 다양한 정책에 대한 이야기가 있었으나, 특정집단의 논의에만 갖혀진 한계를 가지고 있거나 개인적인 차원에서 사회와 소통하려는 움직임이나 비판적인 시각에서 우리는 문제다라는 책이 주를 이루었다.

 

 앞서 언급한 두 권의 책은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한국에서 건축의 문제를 개념적으로 접근하기 시작한 책들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저자가 '펼치는 글'에서 밝힌바와 같이 이제 건축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내세울 수 있는 때가 도래한 것이다.

 

1장 건축과 국가, 그리고 존재
 건축과 국가란 어떤 관계이기에 책 제목처럼 "건축 없는 국가"라고 이야기하는가라는 점이다.
 내세우는 키워드는 지역의 고유성, 역사성, 존재의 중심과 확장이다.

 이는 우리 자신의 모습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다.

 

2장 건축이라는 이름으로

 건축에 대한 개념의 시작이다. 개념어라는 것이 문화권에서 다루어지는 개념이 설정된 것이라는 점에서 우리가 쓰는 건축에는 영어의 아키텍쳐는 동일한 의미를 담고 있지 않다. 그러한 점에서 건축과 아키텍처, 서양의 아키텍처, 서양의 아키텍쳐와 국가가 이야기된다.

 

3장 건축 없는 국가

 김효만의 건축에 대한 비평이다. 저자가 대한민국에서 살아남기 위한 방편 중 하나로 제시한 한국문화의 고유성과 관련하여 몽유도원도, 그리고 유의 공간으로 김효만의 작업을 창조적인 비평가로서 서술한다.

 

4장 국가 없는 건축

 조민석의 건축에 대한 비평이다. 오직 자신의 생각에서 시작한다는 점에서 국가 없는 건축으로 시작하며 서로 다른 이질적인 것들 사이의 관계를 조율하는 작업방식을 원효의 '화쟁'을 바탕으로 서술한다.

 

이 책은 한국건축의 현실을 그대로 드러내어 비판한 이상헌 교수의 책과 다르다. 한국건축의 상황을 인정하고 그 속에서 현재 활동하고 있는 2명의 건축가인 김효만, 조민석에 대한 비평서라는 측면에 더 이 책의 적절한 성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3 젊은 건축가상
신혜원 외 지음 / 스페이스타임(시공문화사)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읽으면서 계속 든 질문은 독자로 누구를 산정하고 있는가 였다. 건축가, 일반인 혹은 행정가? 이 책은 2013년 젊은건축가상 수상한 작가들에 대한 홍보물이다. 전년과 달리 건축가들을 이야기해주고 있지만 아쉽다. 공공건축에 대한 좀 더 처절한 고민의 흔적을 기대하였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풍경류행 - 건축과 풍경의 내밀한 대화
백진 지음 / 효형출판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진교수님. 딱 한번 직접 마주쳤지만, 서울대에서 건축이론으로 몬가 할듯한 분위기의 그분이 풍경이라는 단어로 효형출판에서 책을 냈음. 서현교수님의 그대가 본 이 거리를 말하라(?)와의 오버랩은 앞으로 더 세밀하게 살펴보고 설명해야 할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제의 조선연구와 식민지적 지식 생산
최석영 지음 / 민속원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구의 학문분파처럼 한국의 지식체계는 어떤 과정으로 만들어졌는지. 각 분야별로 추적이 필요하겠으나 일제강점기에 대한 역할들에 대해서는 처음으로 접할 수 있었던 책. 더불어 지식생산의 주요기관인 경성제국대학과 무속, 민간신앙, 조선민가, 토막집에 대한 책들도 찾아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