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 2019 제43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김초엽 지음 / 허블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SF소설은 과학에 무지하다시피한 인문학도에겐 아무래도 어렵다. 별의 계승자를 무척 흥미롭게 읽긴했으나 이해에서 비롯되는 상상이 자꾸만 벽에 부딪히는 느낌에 읽으면서도 속상했던 기억이 있다.

그런 이유로, 다른 모든 영역은 미디어 및 영상보다 텍스트를 선호하지만 SF장르만은 영화를 선호하는 한사람으로서, 이 소설은 무척이나 친근했다.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해도 이야기를 받아들이는 데 아무것도 문제되지 않는, 그러니까 과학이 도약적으로 발달한 먼 미래를 배경으로 하지만 결국 우리가 살고 있는 오늘을 이야기하고 있다.

내가 SF를 읽고 있다는 느낌이 잘 들지 않는데 그게 좀 아쉬우면서도 전혀 거슬리지 않는 묘한 느낌이랄까.

 

읽다보면 켄 리우의 [종이동물원] 생각도 나고, 정세랑의 [지구에서 한아뿐] 생각도 난다. 엄청난 기대를 하고 보면 실망스러울 수도 있겠지만 큰 기대 없이 읽어서 그런지 다 읽고난 후엔 "괜찮은데?"정도의 느낌은 남았다. 개인적으로는 작가의 다음 작품집이 나온다면 사볼 의향이 있다.

어쩌면 일상의 균열을 맞닥뜨린 사람들만이 세계의 진실을 뒤쫓게 되는걸까? - P19

의미는 맥락 속에서 부여된다. 하지만 때로 어떤 사람들에게는 의미가 담긴 눈물이 아니라 단지 눈물 그 자체가 필요한 것 같기도 하다. - P2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