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길동전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00
허균 지음, 김탁환 엮음, 백범영 그림 / 민음사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책은 허균이 시나리오로 만든 소설책이다. 

홍판서는 자는데 꿈을 꾸었다.꿈에서 천둥이 치더니 청룡이 머리를 들어 크으으흥 하고 용트림을 하더니 이내 홍 대감의 입 안으로 펄쩍 뛰어 들어왔다. 

홍판서는 꿈인걸 알고 부인방으로 가지만 부인은 모른척했다. 그러고 춘섬에게 애를 갔게 했다. 춘섬이 애를 낳자 홍판서는 그 애이름을 홍길동이라고 지었다. 

홍길동은 노비의 몸에서 태어났기때문에 형을 형이라 부르지못하고 아버지를 아버지라고 못했다.이것을 호부호형이라고 한다. 

홍길동은 글을 공부하면 그것을 단 한번에 외웠다. 글공부를 많이 한 길동이는 무술 공부에 힘을썻다.길동은 무술을 배워 무관이 되고 싶어했다. 

어느덧 길동은 어른의 몸이 되었다. 모름지기 사내대장부로 태어났다면 공자와 맹자의 가르침을 배우고, 전쟁에 나아가 백만 대군을 호령하며 나라를 지켜야 한다. 

어느날 곡산댁은 홍판서에게 사랑받는 길동이가 미워 꾀를 썼다. 곡산댁은 마을에 제일가는 도적을 불러 길동이를 암살하라고 했다. 그날밤 길동이가 자려고  할때 까마귀 3마리가 깎을면서 지나갔다. 길동이는 재앙이 온다는 사실을 알고 주문을 외웠다. 도적이 들어오자 눈이 이상해졌다. 도적은 어쩔줄모르고 빌었다. 길동이는 곡산댁이 한거라고 듣고 그 도적의 목을 베었다. 그 곳장 곡산댁으로 가 목을 베었다. 길동은 그리고 떠났다. 

얼마지나 도적의 동굴에갔는데 마침 왕을 뽑았는데. 길동이가 도적왕이 되었다. 그리고는 양반집을 털어 불쌍한 사람들에게 나눠주었다. 길동이 마을을 지나가는 데 사람을 잡아가는 것이었다. 그사람은 곤장 100대를 맞는 벌이었다. 그것을 대신맞겠다고 했다 길동이는 그 매를 맞는데 웃었다. 그리고 곤장을 때리는데 그 매가 뿌러지는 것이었다.그래서 판사는 길동을 놔주었다. 

그래서 홍길동은 신선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램그램 영문법 원정대 9 - 현재 진행형 그램그램 영문법 원정대 9
어필 프로젝트 그림 / 사회평론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이책을 읽은 동기는 아까와 같다. 

소유격은 누구의 것인지 나타내는 말이다. 1권에서 배운 my나의 너의 우리의 같은 말이 소유격이다. 이런 소유격을 이용해서 나의 책 너의 이름 처럼 누구의 것인지 말할 수도 있지만 명사로 소유격을 나타낼수 있다. 이럴 때는 따로 정해진 말이 있는 게 아니다.명사 끝에 어포스트로피'와 s를 붙여 주면 된다. 

whose로 물을 때는 의문문 앞에whose와 누구의 것인지묻고 싶은 명사를 쓰면 된다. 대답은 소유격을 이용해서 하면 된다. 

의문사how로 얼마나~한지 정도를 물을 수 있다. 이럴 땐how 다음에 형용사를 쓰면 된다. 

현재 진행형은 바로 지금 어떤 일을 하고 있다는 걸 나타내느 시제이다. 

현재 시제는 매일 학교에 가고 겨울에 눈이 오는 것처럼 늘 반복되는 일 이나 항상 일어나는 일을 말할때 쓴다. 현재 진행형은 지금 하고 있는 일 지금 일어나는 일을 말할때 쓴다. 

이것으로 내 문법이 향상된것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램그램 영문법 원정대 8 - To 부정사 그램그램 영문법 원정대 8
어필 프로젝트 그림 / 사회평론 / 200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이책을 읽게된 동기는 저번 동기랑 똑같다. 

영어에서는 기본적으로 한 문장에 동사는 하나만 써야 해. 문장에 다른 동사를 더해서 쓸 때는 더하는 동사 앞에 to를 써서 to 분정사로 바꿔 주면 된다. 동사가 to부정사가 되면 동사의 의미는 그대로 가지면서 쓰임은 더 이상 동사가 아니다. 그러니까 동사에 to를 붙이는 건 동사가 가면을 쓰는 거랑 같다. 원래 동사의 의미는 갖지만 동사가 아니다.  

문장에 동사를 더해서 쓸 때는 to 부정사로 써야 한다. 

to 부정사는 정해지지 않은 말 이라는 그 이름 처럼 쓰임이 하나로 정해져 있지 않고 문장에 따라 명사나 형용사 또는 부사로 다양하다. 

to 부정사도 형용사처럼 명사를 자세히 설명해 줄 수있어. to 부정사가 형용사로 쓰이면 보통 ~할이라는 뜻을 갖고 반드시 꾸며 주는 명사 뒤에 와야한다. 

to 부정사는 부사처럼 동사나 형용사, 부사 등 다른 말을 도와 더 자세히 설명해 주기도 한다. to 부정사를 부사로 쓰면 왜~하는지 그 이유를 나타낼수 있다. 이럴 땐 보통 문장의 끝에서 ~하기 위해, ~해서 라는 뜻으로 쓰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램그램 영문법 원정대 7 - 연결하라! 콘의 접속사 구슬 그램그램 영문법 원정대 7
어필 프로젝트 그림 / 사회평론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책도 전 책6권을 읽은 동기와 같다. 

접속사를 써서 두 문장을 하나로 이을수 있는데 이 때 앞, 뒤 문장의 내용에 따라 접속사를 다르게써야한다. 

앞문장과 뒷문장이 비슷한 내용으로 이어지는 경우에는 and를, 앞과 뒤가 반대일 경우에는but을, 앞, 뒤 둘 중에서 하나를 선태해야 하는 경우에는 or를 써서 문장을 이어준다. 

의문문의 맨 앞에 why를 쓰면 이유를 묻는 why의문문이 만들어진다. 

의문사 why를 써서 왜냐고 물었으면 이유를 말해야 하니까 앞에서 배운 접속사 because로 대답하면 된다. 

이것으로 나는 또 문법을 알게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램그램 영문법 원정대 6 - 맞춰라! 워드의 문장 버블 그램그램 영문법 원정대 6
어필 프로젝트 그림 / 사회평론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이책을 읽기 시작한지 2개월이 지난것 같다.내가 이 책을 문법을 못해서 읽는 것이다. 

먼저 안어느느 같이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이다. 쓰임에 따라 명사,동사,형용사,전치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문장 은 단어를 모아 만든 말로 누가 무엇을 하는지 완전한 생각을 나타냅니다. 

문장은 쓰임에 따라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으로 나눌 수 있다. 문장의 종류마다 주어와 동사의 순서가 다르고 끝에 붙는 문장부호도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로서로 달라요 

평서문은 어떤 것을 있는 그대로 설명하는 문장이다. 문장의 끝에 마침표. 를 붙인다. 

의문문은 무엇에 대해 묻는 문장이다. 문장의 끝에 물음표를 붙이고 끝을 올려서 말해야한다, 명령문은 상대에게 무엇을 하도록 시키는 문장이고 문장의 끝에 마침표. 을 써야한다. 감탄문은 크고 강한 느낌을 표현하는 문장이다. 문장의 끝에 느낌표 를 붙이고 최대한 감정을 살려서 말하면 된다. 

이것으로 나는 문법을 많이 알게되어 기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