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Why? 식물 [구판] 초등과학학습만화 Why? 5
이광웅 지음 / 예림당 / 200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난 why? 식물책을 읽고 식물에 대하여 많은걸 알았다. 먼저 식물 뜻을 알자 교잡이란? 우수한 품종의 꽃가루를 다른 우수한 품종의 암술에 수정시켜 그 자손이 양친이 가진 뛰어난 형질을 함께 갖게 하는 방법이다. 근데 내가 안점이 있다. 식물은운동을 한다.또 안것은 감광성인데 낮엔 꽃이 피었다가 밤엔 꽃잎이 오므라 드는 현상을 감광성 이라 합니다.또 꽃은 곤충이나 물이나 바람이나 동물로 번식을 한다. 난 이 why?식물책을 읽거서 식물이 무슨일을 하는지를 알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맹꽁이 서당 2 - 조선시대 성종-명종편 맹꽁이 서당 2
윤승운 글,그림 / 웅진주니어 / 2005년 12월
평점 :
절판


난 이 맹꽁이 서당을 읽고 조선 시대 성종~명종 에 대해서 많이 알았다. 먼저 성종은 1469~1494년 까지 살았다고 한다. 조선의 제9대 왕으로 세조와 태종이 이룩한 치적을 바탕으로 빛나는 문화 정책을 펴 나간 분이다. 숭유 억불 정책을 철저히 시행하였으며 왕위에 오른 후 5년이 되는 해에는 조선의 법전인 경국대전을 완성시켰다. 또 연산군은 재위 1494~1506년 까지 왕 자리에 있었다. 성종의 맏아들인 연산군은 독도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하고 빈민 구제를 위한 사창 . 상평창을 설치하는 등 초기에는 나라를 위한 업적도 많이 이루었다. 하지만 생모의 죽음에 대한 비밀을 알게 된 이후부터 점차 향략에 빠져 들어 무오사화, 갑자사화를 일으켜 많은 유학자들을 죽이게 된다. 결국 연산군의 반정으로 왕위를 넘겨주고 폐위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맹꽁이 서당 1 - 조선시대 태조-예종편 맹꽁이 서당 1
윤승운 글,그림 / 웅진주니어 / 2005년 12월
평점 :
절판


난 이 맹꽁이 서당을 읽고 많은 걸 알아내었다. 무엇을 알아내었냐면 먼저 조선시대에 살았던 태조 이성계는 1388~1408년까지 살았다고 한다. 이성계는 조선시대 를 건설하고 유교를 숭상하고 농사짓기를 나라의 기본정책으로 삼았으며 상업을 장려하는 등 혼란한 건국 초기의 조선을 잘 수습하여 조선왕조 500년의 기틀을 다졌다. 다음 정몽주는 1337~1392년까지 살았다고 한다. 정몽주는 고려말의 학자이며 충신인 종몽주는 유교를 깊이 연구해 길재, 이색과 함께 고려의 3은이라 불리웠다. 점몽주는 이성계를 도와 고려의 토지제도를 고치고 공양왕을 왕위에 오르게 하는 등 기울어 가는 고려의 부흥을 위해 힘썼다. 그래서 난 이 맹꽁이 서당을 읽고 조선시대에 있었던 일을 알아서 기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뒤뚱뒤뚱 신사 펭귄 - 자연관찰 땅에 사는 동물 14 자연관찰 14
김정신 지음, 최재천 감수 / 기탄동화 / 2006년 12월
평점 :
절판


난 뒤뚱뒤뚱 신사 펭귄을 읽고 펭귄의 삶을 알아 내었다. 무엇을 알아내었냐면 면저 팽귄은 넘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왜냐하면 튼튼한 발과 두꺼운 발바닥 때문이다. 또 바위 위나 얼음 위에서도 걸을 수 있다. 펭귄은 또 추위에도 끄덕이 없다 왜냐하면 짧고 두꺼운 깃털이 촘촘하게 나 있어서다. 또 물에 들어 가도 깃털은 물에 잘 젖지 않는다. 펭귄은 주로 얼음 미끄럼틀을 자주 탄다고 한다.또 펭귄은 오징어를 가장 좋아 한다고 한다. 펭귄은 가장 조심 해야하는게 바로 바다표범이 펭귄을 먹는 것이다. 이것으로 나는 펭귄에 대하여 많은걸 알아서 기분이 아주 좋다 또 펭귄이 좋아하는 음식등을 알아 서 기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