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집 아들 독서법 - 사교육 중심지 대치동에서 ‘독서’로 살아남은 브릭 독서의 비밀 초중고로 이어지는 바른 공부습관 1
이지연 지음 / 블루무스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즈음에 아이의 책육아를 시작하면서 여러 독서와 관련된 서적을 찾아 읽곤 했다. "책 읽어주는 부모가 책 읽는 아이를 만든다" 유명 저자의 이야기를 듣고 시작했던 책 육아인데, 점점 하다보면 이 독서가 진정으로 효과를 경험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하는 고민이 생기게 되었다.

이런 고민을 하던 차에 '달콤수학' 카페에서 서평 체험의 좋은 기회를 얻게 되어 순식간에 읽어내려가게 되었다.

친구들과 만나면 자주 하는 말이 있다. "키와 공부는 커봐야 안다" 처음에는 서로 너무 웃기다고 이야기하며 넘겼지만, 곱씹어 생각하면 아이의 공부에 관한 좋은 명언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 남들대로 좋다고 하는거 다 하는데(독서며, 학습지도며..) 성적 차이는 생기게 된다. 남들 말대로 정말 독서가 답일까 의문이 들게 된다.

 

 
 

 

 이 책에서는 그래서 진짜 독서에 대한 명쾌한 이야기를 해준다.

독서는 답이 아니라 답을 찾게 해주는 것이고, 독서의 기본 바탕이 되는 책도 사람과 같아서 책과 소통하며 읽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 책의 주인공인 준서의 팟캐스트의 부분을 보면, "책은 왜 읽어야 해?" 라는 엄마의 질문에 준서는 이렇게 답한다.

글은 소통의 한 도구라고 생각하는데,

책을 계속 읽다 보면 저자랑 이야기하는 것처럼 느껴져

                    -   그집 아들 독서법 10부

그렇다. 아이들은 책과 소통하며 서로를 알아가는 재미를 느끼면 된다. 그것이 참된 독서일 것이다. 그 과정에서 아이는 자신과 잘 맞는 책과 그렇지 않은 책이 무엇인지 알게 된다. 그래서 나는 이 부분에 밑줄을 그었다. 아이가 독서를 포기하지 않게 하려면, 독서다운 독서를 경험하게 하고, 책과 아이가 시간을 갖고 소통하며 서로를 이해하는 진짜 독서를 할 수 있게 하자는 것!!

나는 최근에 1000권 읽기를 시작하며 아이들의 북로그를 어플로 관리하고 있다. 하다보면 뿌듯하기도 하지만, 사람인지라 독서량의 수치에 더 눈이 들어오게 된다. 준서의 이야기로 들어가면, 아이가 읽고 있다고 해서 진짜 다 책을 읽는 건 아니라고 말한다. '독서는 시험도 안 보고, 잘 읽었는지 대강 읽었는지 검사도 하지 않는데, 대충 책 권수나 채워야지' 하는 마음가짐이 가짜독서를 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온전히 자기의 것이 되려면, 책 속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고 고민해보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줄 알아야 한다.

 

                                                                         

그래서 "그 집 아들 독서법"으로 가장 특별한 비밀인 <브릭독서법>에 대해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브릭독서는 진짜 독서가 가능한 독서법으로, 책을 반복해서 읽고, 해석하고, 대화와 소통을 통해 얼개를 만든다는 뜻이다. 내가 가장 와닿는 단계로는 브릭독서 3단계인 해석하는 단계였다. 나 자신은 해석의 주체이고, 독서의 주체도 나 자신이기 때문에 저자의 생각을 무조건적으로 따라가기보다는, 자기가 주체가 되어 책의 내용을 해석하면서 생각을 만드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이 책을 순식간에 집중해서 읽으면서, 내가 어릴 적 읽었던 독서의 세계와 요즘 아이들이 읽어야하는 독서 환경이 많이 다르다는 것을 느낀다.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에는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아이만 할 수 있는 것, 우리 아이만의 스토리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그러려면 독서를 통해 무언가를 잘 읽어 낼 수 있는 능력, 깊은 사고하는 능력을 키워줘야 한다. 그 중요한 단계를 이 책을 통해 배웠다.

특히 엄마로서 우리아이에게 "진짜 독서'를 위해 줄 수 있는 최선의 방법으로는 책을 읽고 관심 있는 것에 대해 충분히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주는 것이고, 또한 보이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을 때까지 아이의 이야기를 듣고 대화하며 기다려주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