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버스 키스 1
요시다 아키미 지음 / 시공사(만화) / 200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요시다 아키미(Yoshida Akimi)는 <바나나 피쉬(Banana Fish)>라는 대작으로 한때, 저를 매료시켰던 작가입니다. 시원시원한 그림체 하며, 꽉 짜여진 스토리 하며, 심지어 영화라는 매력적인 매체마저 뛰어넘을 듯 보이던 최고의 연출력등으로 대체 왜 우리가 만화에 열광하는가에 대한 모범답안을 보여주는 작가로 평가되어야만 할 것이라고 저는 열열히 소리높혀 외쳣던 것이였겠지요.아키미의 <러버스 키스>는 또한 그녀가 다룰수 있는 스토리의 영역이 한정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바나나 피쉬의 그 우울함과, 진지함과, 비애감, 그리고 역동감과 웅장함등을 떼어 놓고도, 그녀는 얼마든지 훌륭한 작품을 우리에게 선사할 수 있는지를 바로 이 러버스 키스에서 확인시켜 줍니다.

이 작품은 여섯명의 고등학생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합니다. 그 성별로 나누자니, 남자 셋, 여자 셋인 것이 마치 한 시대를 풍미한 시트콤이 떠오릅니다만, 그정도의 단순무식지랄스런 드라마와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의 복잡한 인간관계가 이 작품의 저변에 깔려 있답니다. 사실 눈치 빠른 독자라면, 이 작품의 1화만을 읽고 나서도, 대략적인 이들의 관계망이 머릿속에 그려지게 마련입니다.

더구나 첫 챕터의 표지그림부터 심상치 않은것이 혹 동성애 만화는 아닐까..하는 의구심을 갖는 독자들도 있으리라 봅니다. 그래요, 이 만화에선 동성애가 등장합니다. 그러나 미소년들의 오만가지 사랑행각을 그리는 야오이라던가, 오로지 동성애만을 그 핵심으로 잡는 이반 전도사들의 선전 선동용 동성애 만화들과는 조금 거리를 둡니다. 이것은 (진부한 표현이지만)다만, 사랑하고 있는 소년, 소녀들을 그리고 있을 뿐이예요.

이 만화는 크게 세가지의 챕터를 가집니다. 하나는 boy meets girl. 또 하나는 boy meets boy,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girl meets girl. 그리고 이 세가지 만남은 서로 교묘하게 관계맺고 엇갈리면서 전체의 스토리라인을 이끌어 나갑니다. 이쯤되면, 아하..하고 무릎을 내리치실테지만, 다시한번 강조하건데, 요시다 아키미는 남자셋 여자셋의 드라마 작가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더 이상의 스토리는 발설하지 않으렵니다. 이러다간, 씩스센스를 보려고 기다리는 영화관 대기실안에서 큰소리로 '부르스 윌리스는 귀신이다!!!'라고 소리치는 꼴이 될테니까요.-.-;;;

요시다 아키미가 위대한 것은 자칫 달콤한 러브어페어로 끝나버리기 쉬운 대부분의 순정 학원물과 달리, 단 두권뿐인 이 짧은 스토리안에, 사랑이라는 정체 모를 것에 대한 진지한 물음은 물론, 동성애 문제, 유아 성폭력 문제, 근친 상간의 문제등을 침착하게 묻고 있다는 점입니다. 물론 그 물음들은 인생의 한 시기를 심하게 앓고 지나보내야 하는 청소년들의 성장기에 대한 작가의 끊임없는 숙고와, 애정어린 시선에서 나올 수 있었을 것이겠지요.

문득, 잊혀졌던 청소년기의 기억을 회상해 봅니다. 영화 <친구>가 주는 폼만재면 그만인 노스텔지어를 떠올리라는게 아니예요. 아키미는, 진실로 우리의 성장에 대해 인생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삶을 이끌어가기위해 어떤 방식으로든 실존적 결단을 내려야하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예요. 자신의 성 정체성을 확인하는 것 또한 그렇겠지요. 그러나 적어도 여기, 러버스 키스의 소년소녀들은 자신의 인생을 온전히 자기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 고통스런 결단을 해내야만 합니다. 그리고 자신들의 사랑을 믿고, 자신의 사랑에 키스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조금씩 어른이 되어가겠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갤러리 페이크 1
후지히코 호소노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0년 2월
평점 :
품절


미술을 전공으로 석사씩이나 했으니, 미술계에 몸담고 있다고 설치는 저도 미술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그토록 어려운데, 이 만화는 버젓이 그 소재를, 다른것도 아닌 '미술'로 삼고 있습니다. 물론 항상 만화가들을 마음속 깊이 존경하고 있기는 하지만, 유독 어떤 만화가를 존경하게 되는 경우가 있지요.

그건 다름아닌 하나의 전문적인 소재를 그 이야기의 중심에 놓기를 시도하는 작가들입니다. <갤러리 페이크>의 작가 호소노 후지히코가 어떠한 연유로 자신의 만화의 소재로 이 말하기조차 거창한 미술의 세계를 끌고 들어왔는지는 모르지만, 한편 한편을 접하면서 미술품에 대한 어느정도 수준이상의 정보와 지식을 개입시키는 데에는 가히 '존경'이라는 단어만이 더오를 뿐입니다.

그래서 저는 수의사의 세계나 간호사의 세계를 만화로 그린 <닥터 스쿠루>, <못말리는 간호사>의 노리코 사사키나, 초밥의 세계를 우리에게 알려준 <미스터 초밥왕>의 다이스케 테라사와, 오만가지 스포츠와, 과학, 게다가 고고학의 세계까지 선사하는 <야와라>, <20세기 소년>, <몬스터>, <마스터 키튼>의 우라사와 나오키 등등의 공부하는 작가들의 신작이 나올 때 마다 열광하지 않을 수 없는 것입니다.

<갤러리 페이크> 역시 그러한 전문지식을 필요로 하는 미술만화(?)의 장르를 만들어 놓습니다. 책의 첫장에는 미술사가 윤범모의 싸인이 있는 추천사가 들어있지만 과연 윤범모씨는 이 만화를 읽기는 했을까..하는 쓸데없는 의문을 해보는 것도 재미라면 재미일까요.(-.-;;;)

이 만화는 작가의 방대한 미술사적 지식으로 태어납니다. 매회 이어지는 끝없는 미술이야기들, 나름대로 그 지식과 정보를 재미나게 전달하기 위한 스토리(조금 유치한 감이 있습니다만은)가 펼쳐집니다. 갤러리 페이크란 그 이름대로 진품이 아닌, 가짜, 즉 모조품을 거래하는 화랑입니다. 그리고 이곳의 주인인 후지타는 전 뉴욕 메트로 폴리탄 미술관의 수석 학예관으로 이름 날리던 사람이라는 설정도 재미납니다. 그 명성에도 불구하고, 주인공은 미술장물을 뒷거래하기도 한다는 이유로 미술계에서는 왕따를 당합니다.

그러나 후지타의 미술품을 보는 안목, 미술품 복원능력, 미술사적 지식은 매회 끊임없이 이어지는 사건사고를 풀어내는 주체가 되고 (비교하자면..뭐 이런거여.. 김전일이 항상 '모든 것은 밝혀졌다..'로 마무리되는 것이나...초밥왕의 쇼타가 언제나 시합직전에 눈을 번쩍 뜨며 깨달음을 얻는것..같은거 말예여.), 매번 일본 미술계의 자만심, 국수주의등에 통렬한 비판을 가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또한 빼놓고 이야기 할 수 없는 것은 작가가 생각하는 미술의 하이어라키에 관한 것입니다. 물론 그건 독자들의 시각에 따라 유효 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겠지만요.

요사이엔 점점 '내가 정말 알아야 할 것은 만화책에서 배웠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던데요, 아마도 점차 이 만화란 장르가 포용할 수 있는 범위들이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넓어져 가고 있기 때문일 거예요. 미술사의 세계로 발을 내딛기가 조금 겁이나시는 분들을 위해 조금은 편안한 방법인, 후지타의 <갤러리 페이크>에 방문하시기를 권해봅니다. 뭐..물론 만족도에 있어서의 개인차라는건 존재하는거니까요. 꽤나 소심한 성격인 저는강하게 추천하진 안으렵니다.-.-

(아, 잊어버릴뻔 했는데...이 만화의 아쉬운 점은 번역과정에 있어서 제대로된 감수가 없었다는 것입니다. 종종 미술품의 제목이나 작가의 이름이 일본식 발음으로 여과없이 전달되어 조금 헷갈리게 될테니, 참고하시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