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과 돌의 노래 1 - 엇갈린 사랑
김영미 지음 / 시간여행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만 봐서는 노동봉기, 농민항쟁 등 역사 속 홀대받은 농민과 노비들의 항쟁기 같으나 부제로 보는 엇갈린 사랑으로 내용이 궁금해 집어든 징과 돌의 노래, 헌데 1권이라니, 끝이 아니라니....

첫장을 넘기고 서경천도, 묘청, 김부식, 정지상 등 익숙한듯 낯선 고려인들을 만나며 밑줄 그어가며 달달 외던 그 인물들을 만날 수 있어 감회가 새롭기도 했다.

그동안 조선의 왕들을 만나고 그들의 비를 만나고 그들의 아들과 며느리와 손주와 손녀를 만나며 흐릿해지던 고려가 돈후, 운요, 운, 나란과 함께 나를 만나러 온 것이다.

반상의 질서가 입는 옷 색깔마저 정해버린 고려시대, 이름과 표찰만으로 검문검색 없이 무사통과 가능한 신분이나 메울 수 없는 헛헛함으로 구멍난 가슴을 숨긴 돈후가 온요를 만나 눈으로 거친 손을 잰 발길을 쫓으며 마침내 마음에 담아버린 날...

떠르르한 집안에서 영특함을 타고나 천재 소리를 들으나 삶의 목표가 없어 이리저리 부유하던 운이 정처없이 떠돌다 죽음을 목전에 두고서야 새벽 어스름에 알듯 모르듯 스민 안개가 걷히는 한 줄기 햇살 같은 운요를 찾아 다시 돌아왔다 고백하던 날...

가족을 잃은 원한을 품고 홀로 떠돌다 운곡 선생의 뜻을 쫓아 운요와 함께 아픈 이들을, 굶주린 이들을, 핍박받는 이들과 함께 꿈을 꾸던 나란이 운이 건넨 비녀 하나에 어쩔 줄 모르던 운요의 발갛게 물든 얼굴에 애써 웃음 짓던 날...

산을 오르내리며 약초를 캐고 약을 달이고 밥에 짬에 쉴 새없이 움직이며 산채식구들을 건사하던 운요가 새벽 어스름이면 문득 떠올라 또 한 번 생각하다 이내 한 숨 짓고 돌아서다 마주친 운을 눈에 담은 날...

엇갈린 사랑이라는 부제처럼 1권에서는 돈후도, 운도, 나란도 운요와 확실한 관계를 맺지 않는다. 사연은 제각각이나 운요라는 여인을 마음에 담아버린 세 남자들의 행보가 어떻게 펼쳐질지 궁금하다. 얼핏 개인적인 일탈로 보여지는 돈후와 운의 사연이 어떻게 풀릴지 진심으로 궁금해지기도 한다. 

1권의 마지막 장을 넘기고, 이들의 마음이 사랑이 고스란히 남는다.

설익은 마음으로는 알 수 없는, 잡고자 하였으나 잡은 것이 없어도 헛헛하지 않는 것...

로맨스는 이래서 맛있는 거다. 징과 돌의 노래는 사랑이다.

"평생을 비우고자 하였으나 너만은 오롯이 남았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덕여왕과 신라 영웅들 - 인물로 읽는 우리 역사
박영희.이소형 지음, 조장호 그림, 임학성 감수 / 웅진씽크하우스 / 2009년 6월
평점 :
품절


조선, 유교, 공자, 성리학, 여인천하, 독살 등등에 익숙해 있던 제게 아들이 묻습니다. 

"엄마, 선덕여왕은 이름이 선덕이야?" 

글쎄~ 선덕여왕이니까 이름이 당연히 선덕이 아닐까? 하다가 짧은 역사 지식을 가진 엄마임이 뽀록 날까 싶어 찾아보자 하고 말았는데 참...신라의 여왕인 선덕에 관한 이야기들은 그다지 많지 않더라고요. 

역사에 이제 막 눈을 뜨기 시작한 아들은 매번 물어대는데 드라마를 봐도 이 여인네나 저 여인네나 별반 차이가 없어보이니 얘기해줄 게 없었지요. 

드라마하는 날만 되면 줄거리 미리 살펴보고 신라 역사 살펴보는 것이 일이었는데(아들한테 무식하다는 소리는 듣지 말아야겠다 싶어서 말이지요...) 드뎌 저의 궁금증을 한 번에 해소시키는 안성맞춤인 책이 나왔지 뭡니까? 

어린이 눈높이로 쉽게 쓴 글들이라 책과 멀어졌던 저와도 딱 맞고요, 아들이랑 같이 머리 맞대고 읽으며 간만에 열공도 하게 되니 신라의 여왕과 영웅들은 이 머리 속에 다 들어오게 되었답니다. 

아빠도 엄마도 어린 아들도 신라에 빠져들게 하는 고마운 책, 혹시 백제나  고구려, 발해는 언제쯤 나올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밥 퍼! 안 퍼! - 밥해대는 여자들의 외롭고 웃긴 부엌 이야기
김미경 외 지음 / 뿌리와이파리 / 2003년 11월
평점 :
절판


결혼 5년차에 부엌에서 밥을 한 지도 5년이다. 그동안 찌개를 끓인 것도 밥을 한 횟수도 숫자로 따지자면 얼마나 될까? 머리 싸매고 공부해서 똑같이 시험치고 들어간 학교건만 졸업하고 직장다니다 결혼해서 집에서 밥을 하고 앉았는 나를 생각하면 지난날 공부를 위해 목을 맸던 시간들이 괜스레 아까운 생각만 들곤 했다. 똑같이 밥먹고 공부한 신랑은 집에서는 어미가 해주던 밥에 결혼하고는 마누라가 해주는 밥을 먹으며 돈 벌어온다는 이유하나로 온갖 유세는 다 떨고...밥 맛이 없다는 신랑을 보면 음식솜씨 없는 나를 타박하며 미안한 마음을 가졌던 시간은 또 얼마나 많은지...나를 위한 밥상을 차리기 보다는 신랑을 위해, 아이를 위해 차리는 밥상이 더 많은 현실에서 이 책은 톡! 쏘는 청량음료와 같다. 일상의 자잘한 부엌이야기에서 이웃의 얘기로, 부부사이의 관계를 되돌아보게 하는 이야기까지 다양한 연령의 아줌마가 진짜 다양한 그들만의 얘기를 내 얘기처럼 풀어놓았다. 이 얘기들은 바로 나의 일상에 관한 내 얘기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