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멋지게 살고 싶다
성진아 지음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뒷 표지에 한 번 뿐인 인생, 당당하게 후회없이 원하는대로 최고의 삶을 살아보자라는 문구가 마음에 들었다. 그리고 책 내용에 제2, 3의 직업을 찾아 멀티잡 인생을 꿈꾼다는 챕터가 관심을 끌었다.

지금부터 책을 읽으면서 마음에 와 닿았던 부분과 나의 생각을 적어보고자 한다.

P13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인정할 때 비로소 행복해진다. (중략) 하지만 그것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면 더 이상 단점이 아니게 되고 생각하기에 따라 장점이 될 수도 있다. (중략)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가 있다. ‘내가 그것을 단점이라 단정지었기에 그것이 나의 단점이 되었다는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생각해 보았다. 나의 단점은 무엇인지 나는 좀 예민한 편이다. 나도 그렇게 생각하고 주변 사람들도 나에게 그런 말을 종종 한다. 그래서 나는 내 단점을 고치기 위해 노력을 해 왔다. 그러나 책을 읽으면서 생각을 바꿨다. 나는 예민하다는 것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자 하지만 그것을 단점으로 생각하지 말자고. 그 예민함 때문에 내가 남들과 다르게 인정받고 있는 것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P21 사람은 온종일 생각하는대로 된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로마의 16대 황제) (중략) 원하는 것을 얻고 원하는대로 사는 사람은 자신이 하고 있는 것이 잘 될 것이라고 굳게 믿는다. 잘되지 않을 것이란 생각은 하지 않는다.

내가 주변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계획을 세우는 것에 대해 이야기를 할 때면 빼놓지 않고 이야기 하는 책 제목이 있다. 바로 <사람이 생각대로 살지 않으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는 책이다. 로마의 16대 황제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말과도 일맥상통하는 말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나도 경험했기에, 경험하고 있기에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부분이다.

P31 오래 생각하는 것보다 일단 시작하는 것이 답이다.

나이키의 유명한 캐치프라이즈가 있는데 바로 Just do it!”이다. 직역하면 일단 그냥 해보자인데 시작하지도 않고 포기하는 것은 너무 아깝지 않은가?

P67 사진

책을 읽으면서 몇 번이나 꼽씹어 보게 되었던 부분이다. 내가 거둔 성공은 나 혼자만의 노력으로 결코 되지 않았다는 것. 누군가 나를 도왔고, 이 사회가 나를 필요로 했으니 이룬 성공이라는 말. 그렇기에 우리는 언제나 감사하고 겸손하게 설면서 다른 사람에게도 선한 영향력을 끼치면서 살아야 한다.

P70 사람은 행동하게 만드는 것은 대개 사람이다. (중략) 그래서 주변에 좋은 사람이 많다는 것이야말로 인생에서 가장 큰 복이다.

나도 내 주변 사람들에게 영향을 받았고, 영향을 주면서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주변 사람들 뿐만 아니라 책을 지은 저자들을 통해서도 좋은 영향력을 받고 있다.

P78 미국의 사상가이자 시인이었던 랄프 왈도 에머슨은 끊임없이 너 스스로를 다른 무언가로 만들려고 하는 세상에서 너 자신이 되는 것은 정말 위대한 성취다라고 이야기 했다.

내 자신이 되는 것은 쉬우면서도 어려운 일이라는 생각이 든다. 나 혼자 살아가는 세상이 아닌 곳에서 여러가지의 역할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P97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면 새로운 꿈이 생긴다. 그 새로운 꿈은 또 다른 꿈을 낳는다.

무엇인가를 하게 되면 그것에 파생되는 무엇인가 또 다른 꿈, 목적, 계획이 생긴다.

P113 호모 헌드레드 시대, 한 가지 직업으로 사는 시대는 지났다. 15세기와 16세기를 살다간 사람. 우리에겐 그저 레전드로 남아있는 인물이지만 그는 미술가, 과학자, 기술자, 사상가였다. 바로 레오나드로 다빈치이다. (중략) 기본적으로 생계를 위한 목적으로 돈을 벌 수 있는 일을 직업이라고 한다면, 앞으로 호모 헌드레드 시대에는 열 가지 직업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이도 생겨 날 수 있다.

요즘 여기에 관심이 많다. 내 직장이 있지만 부업으로 더 나아가 제2, 3의 직업을 구하기 위해 아니 만들기 위해 노력중이다. 이 책을 통해서 확실하게 제 2, 3의 직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고 그것 하나만으로도 이 책은 내게 의미가 있는 책이었다.

P213 ‘나는 재미를 위해 일한다.”(I work for fun.)

2, 3의 직업은 재미를 위한 직업을 찾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