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책 수선가의 기록 - 망가진 책에 담긴 기억을 되살리는
재영 책수선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 차례 '책수선'에 대한 같은 수업을 받고 그나마 남은 것이 있다면 내가 아끼는 책을 생활 속에서 좀 더 소중하게 다루는 법이었다.

☝읽다가 만 페이지를 접어서 표시하지 말 것_접는 순간 종이의 물성이 변하면서 훼손의 길로 들어선다. ✌ 테이프와 본드 절대 사용하지 말 것_ 나역시 집에서 종종 그 이상의 훼손을 막기 위해 인류 최고의 발명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는 테이프를 아주 잘 활용하곤 했다. 테이프는 일정기간이 되면 특유의 찐덕거림이 약해지면서 책에 누런변색을 남기며 훼손시킨다. 👌책 가까이 음식물을 두지 말 것_복구가 제일 어려운 얼룩의 대표라고 배웠다. 👊책을 펼친 채로 뒤집어 엎어놓지 말 것_특히 떡제본 책 같은 경우 속지들이 한 장 한 장 자유로워지는 데 기여하게 된다. 🖐 책장에서 책을 꺼낼 때 손가락으로 책의 윗부분만 잡아당기면서 빼내지 말 것_아이들 손이 많이 타는 책의 훼손이 제일 많은 경우인데, 반복되는 행위로 책등 윗부분이 뜯겨져 나간다.

열심히 배우고도 실제로 써먹지 못한 기술적인 부분이야 그렇다치더라도 이 때 이후로 책을 좀 더 아끼고 소중히 다루게 됐으니 영 썩힌 것은 아니었나 보다.

사실 이 때도 책에 테이프를 붙이면 안 된다거나 책을 뒤집어 엎어놓지 말라는 가르침을 받으며 나도 모르는 사이에 책을 훼손하고 있었던 것에 적잖이 놀랐다.
그런데 '어느 책 수선가의 기록'을 읽다가 더 놀라운 사실을 알게됐다. 🙀😱🥶 책을 만질 때, 특히 희귀서적을 다룰 때 절대 면장갑을 끼면 안된다는 것이다. 아니 왜? TV나 영화에서 보면 오래된 서적이나 기록본들을 발견했을 때, 혹은 도서관에서 일하는 사서들이 소중한 책을 다룰 때 항상 새하얀 면장갑을 끼는 모습을 봐온터라 선뜻 이해가 되지 않았다. "기름 성분에 취약한 책을 만질 때 장갑을 끼면 손의 유분이 천에 스며들게 되고 종이에 닿게 된다. 특히나 면은 기름 흡수를 아주 잘하기 때문에 아주 신속하게 손의 유분을 종이로 옮기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장갑을 끼면 손의 체온이 올라가서 맨손일 때보다 더 많은 땀과 유분이 나올 수 있다"는 게 재영책수선님의 설명이다.
하여 책을 만질 때는 손을 비누로 깨끗하게 씻고 핸드크림을 바르지않은 맨 손으로 만지는 게 제일 좋은 방법이라고 한다.

몰랐던 부분을 하나 더 알게 된 게 좋았고, 대부분의 인친들이 책과 관련된 분들이라 나누고 싶어 꽤 길게, 쉽게 하는 실수들을 적어보았는데 알고보면 이 책은 작가님이 한국에서 작업실을 시작하고 만난 150여 권의 책 중 스무권 여에 대한 인연과 그 안에서 느낀 '책생'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 사연들과 책이 수선되기 전후의 상태를 사진으로 만나면서, 그 안에 의뢰인들과 작가님의 마음이 더해져 새롭게 탄생되는 한 권 한 권의 작품들을 보면서 나역시 책에 대한 사랑을 더 많이 품게 됐다.

#어느책수선가의기록 #재영책수선 #위즈덤하우스 #몽실북클럽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 #책수선 #책관리 #보존 #훼손 #테이프안돼요 #면장갑안돼요 #접어서도안돼요 #깨끗한맨손으로봐야죠 #작업실너무궁금 #구경가고싶은데 #고칠책없나찾아봐야하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